치맛바람 대신 노래…15년 합창단 이어온 어머니들‘화제

북삼고 어머니들이 만든‘아남카라 합창단’, 노래로 봉사

 

입시 경쟁 대신 화음을 택한 북삼고 어머니들의 합창단이 15년째 무대를 이어오며 지역 사회의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12일 저녁, 칠곡 향사아트센터 무대에 오른아남카라 합창단은 객석을 가득 메운 관객들 앞에서 노래를 선보였다.

 

이날 가장 큰 반응을 얻은 곡은엄마가 딸에게였다. 무대에서 재학생이을 맡고, 단원은엄마로 등장했다. 뒤에서 합창단이 화음을 보태자 객석 곳곳에서 눈물과 박수가 동시에 터져 나왔다.

 

아남카라는 라틴어로영혼의 동반자를 뜻한다. 합창단은 2010년 북삼고가 자율형 공립고로 전환되던 해, 첫 입학생 어머니들이 모이면서 시작됐다.

 

다른 학부모 모임처럼 입시 정보를 나누는 대신, 매주 월요일 저녁 음악실에 모여 합창을 했다. 경쟁보다 화합, 치맛바람 대신 노래를 고른 것이다.

 

창립 단원들은합창으로 화합하며 공부에 지친 아이들에게 힘이 되자는 마음으로 합창단을 꾸렸다고 입을 모았다.

 

15년 세월이 흘렀다. 단원 수는 26명에서 30명 사이를 오가지만, 여전히 절반 이상은 창립 멤버가 자리를 지키고 있다.

 

매달 2만 원씩 회비를 내며 무대를 꾸려왔고, 부족한 부분은 회원들이 자발적으로 힘을 모아 채워왔다. 매주 월요일 저녁을 비워둔 작은 습관이 쌓여 15년이라는 시간이 이어진 셈이다.

 

합창단이 지금까지 유지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김태순 단장의 역할이 컸다. 창립 때부터 단장을 맡아온 그는 단원들의 구심점이었다. 무대에 오를 의상도 손수 제작해 단원들의 부담을 덜어주었다.

 

김태순 단장은월요일 저녁은 무조건 비워둔다. 합창단은 우리 삶의 일부가 됐다아이들과 지역을 위해서라도 무대를 계속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들의 활동은 공연에만 머물지 않았다. 요양원과 어르신센터를 찾아가 노래로 위로를 전하고, 환경정화 활동에도 참여했다. 해마다 한 차례는 후배인 북삼고 학생들을 위한 찾아가는 음악회를 열어, 학업에 지친 학생들을 노래로 응원했다. 단원 자녀의 결혼식이 열리면 모두가 모여 축가를 불렀고, 지역에서 공연 요청이 오면 어디든 달려갔다.

 

김재욱 칠곡군수는긴 세월 자발적으로 합창을 이어온 이야기는 큰 감동을 준다군민들이 스스로 문화를 만들어가는 모습이 칠곡의 힘이다. 앞으로도 누구나 생활 속에서 문화를 즐기고 만들어갈 수 있도록 적극 돕겠다고 밝혔다.

 

 

작성 2025.09.15 14:28 수정 2025.09.15 17:16

RSS피드 기사제공처 : SF뉴스 / 등록기자: 신상식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