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사전, 유신 초기~긴급조치 시대 민주화운동 29건 새롭게 공개”

한국현대사 최대 공안탄압기 민주화운동 사건 데이터베이스 확장

민청학련·인혁당 등 대표적 저항사건 학술적 정리

종교·시민단체 항목 추가로 민주화운동 조직적 기반 확인

만주화운동 관련 29건 사전에 추가(출처: ChatGPT로 생성한 이미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민주화운동사전’에 유신체제 전기부터 긴급조치 1·4호기 시기까지의 민주화운동 29개 항목을 새롭게 추가했다. 이번 업데이트에는 민청학련사건, 인혁당재건위조작사건 등 대표적 저항 사건과 종교·재야 단체의 활동 기록이 포함돼 한국 민주주의사의 집대성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이재오)는 오는 9월 17일 ‘민주화운동사전’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유신체제 수립 직후부터 긴급조치 1·4호기까지 이어진 주요 민주화운동 사건 29건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추가 항목에는 1973년 서울대 문리대 시위로 촉발된 ‘10·2 반유신시위’, 종교계 저항의 상징인 ‘남산부활절연합예배사건’, 국민 참여형 운동으로 확산된 ‘개헌청원백만인서명운동’ 등이 포함됐다. 또한 ‘민청학련사건’과 ‘인혁당재건위조작사건’ 등은 당시 최대 규모의 공안사건으로 기록돼 학술적 정리의 의미가 크다고 사업회는 전했다.

 

민청학련사건의 경우 전국 1,042명이 연행되고 180여 명이 구속된 대규모 탄압 사례로 꼽힌다. 이어진 인혁당재건위조작사건은 중앙정보부가 인민혁명당 관련자를 검거해 민청학련과 연계시킨 조작 사건으로, 1975년 8명에게 사형이 선고된 뒤 불과 18시간 만에 집행돼 ‘사법 암흑의 날’로 불린다.

 

아울러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인권위원회, 구속자가족협의회 등 주요 종교·시민단체도 항목에 추가됐다. 이들 단체는 당시 민주화운동의 조직적 기반을 뒷받침한 주체로 평가된다.

 

‘민주화운동사전’은 이미 4·19혁명부터 1972년 유신체제 수립 직전까지의 사건과 단체를 정리해 왔다. 이번 업데이트로 학술적 가치와 함께 멀티미디어 자료, 지도 콘텐츠, 기념시설 DB를 아우르는 역사 포털로서 기능이 강화됐다는 분석이다. 사업회는 앞으로 유신 후기와 전두환·노태우 정권기를 포함한 전체 민주화운동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사업회는 신규 서비스 오픈을 기념해 9월 17일부터 29일까지 온라인 이벤트도 진행한다. 참여자는 민주화운동사전 누리집에서 ‘유신체제의 수립’ 항목을 확인한 뒤 퀴즈에 응모할 수 있으며, 당첨자에게는 모바일 기프티콘이 제공된다.

 

 

 

작성 2025.09.15 22:12 수정 2025.09.15 22:24

RSS피드 기사제공처 : 볕뉘뉴스 / 등록기자: 볕뉘문화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