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4월 14일부터 5월 13일까지 관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25년 학교폭력 피해응답률은 2.9%로, 2024년 2.4%에 비해 0.5%p 증가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0.6%p, 중학교가 0.5%p, 고등학교가 0.2%p 각각 증가했다. 피해 유형은 언어폭력이 39.1%로 가장 많았고, 집단따돌림(17.1%), 신체폭력(15.1%)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 장소는 교실 안(56.7%)이 가장 많았으며, 복도와 계단(29.8%)이 뒤를 이었다. 피해 시간은 쉬는 시간(59.2%), 점심 시간(35.3%)이 주를 이뤘다.
학교폭력 가해응답률은 1.1%로, 2024년 0.9%보다 0.2%p 늘었다. 초등학교는 0.3%p, 중학교는 0.2%p 증가했으며, 고등학교는 전년도와 동일했다.
학교폭력 목격응답률은 7.2%로, 2024년 5.9%보다 1.3%p 증가했다. 학교급별로 초등학교는 1.7%p, 중학교는 1.5%p, 고등학교는 0.9%p 증가했다. 목격 후 반응으로는 피해학생에게 위로와 도움 주기(34.6%)가 가장 많았으며, 아무 것도 하지 못했다(31.2%), 주변 어른에게 알리거나 신고하기(16.7%), 가해자 말리기(16.6%)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해결을 통한 학생 성장 지원에 나서고 있다. 2025년 9월부터는 처벌 중심이 아닌 관계 회복을 우선해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관계회복 숙려제’를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중·고등학생에게도 당사자 동의를 거쳐 상담, 조정, 화해 등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신학기에는 긍정적 또래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관계가꿈 전문단체(38개, 633명)를 관내 191교 1,081학급에 파견해 학급 단위 관계맺기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특히 학교폭력 발생 비율이 높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집중 예방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학기 중에는 강의 위주의 예방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참여형 문화예술 공연(뮤지컬)을 통한 예방교육을 실시해 학교폭력 예방 패러다임을 다양화하는 시도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