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공공임대, 새 아파트로 탈바꿈… 정부 2030년까지 2.3만호 재건축”

수도권 노후 임대주택 8.6만호… 10년 뒤 두 배 증가 전망

하계·상계마들 첫 착공, 2029년 입주 목표

공공임대 재건축 통해 도심 분양주택도 대량 공급

국토교통부가 9월 7일 발표한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핵심 과제 가운데 하나인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 사업이 본격적으로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국적으로 총 2만 3천 가구 규모의 재건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기준으로 30년 이상 된 노후 공공임대 주택은 전국에 약 10만 호에 달하며, 수도권만 해도 8만 6천 호에 이른다. 국토부는 앞으로 10년 뒤에는 이 수치가 16만 9천 호로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주거환경 개선과 함께 도심 내 분양주택 확대를 동시에 실현하기 위한 대규모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사진: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 예정단지 및 추진일정, 국토교통부 자료]

첫 번째 사업지는 서울 동북권에 위치한 하계·상계마들 단지다. 이곳은 지난 2024년 사업 승인을 거쳐 2026년 약 1,699세대 규모의 공사가 시작된다. 국토부는 빠르면 2029년 입주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2028년에는 중계단지, 2029년에는 가양지구, 2030년에는 수서와 번동 단지 등에서 순차적으로 사업이 진행된다. 최종적으로는 총 2만 3천 호 규모의 재건축이 이뤄질 예정이다.

 

특히 중계 단지부터는 공공분양 주택도 공급될 계획이다. 정부는 2028년 첫 분양을 시작으로, 이후 다른 단지에서도 사회적 수요와 사업계획 수립 과정에 맞춰 공공분양 물량을 반영하겠다는 방침이다.

 

주민들의 이주 대책도 마련된다. 재건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주민 이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근 공공임대주택의 빈집을 활용하거나, 신규 매입임대주택 물량 일부를 임시 거처로 제공하는 방식이 적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존 입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한 재건축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이번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은 2026년 착공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속도를 내게 된다. 단순한 물리적 재건축을 넘어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과 주택시장 안정화라는 사회적 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작성 2025.10.03 10:35 수정 2025.10.03 10:42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서하나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