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 신화극장] 불을 훔친 신 ‘카프카스의 프로메테우스’

 

[3분 신화극장] 불을 훔친 신 ‘카프카스의 프로메테우스’

  

안녕하세요, 김미희입니다. 인간의 상상력이 만들어낸 위대한 신화 속으로 함께 떠나볼까요? 오늘은 그리스와 흑해 사이, 눈과 바람이 부딪히는 카프카스산맥에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을 훔친 신 프로메테우스’의 전설을 만나봅니다. Let's go.

 

아주 오래전, 세상은 아직 어둠 속에 잠들어 있었죠. 사람들은 추위와 공포 속에서 떨며, 신들의 명령에 순종해야만 했지요. 그때 티탄족의 한 신,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을 위해 결심합니다. 

 

“불을 가져다주자. 그들이 신처럼 생각하고 창조하도록.”

 

그는 올림포스의 신전으로 몰래 들어가, 제우스의 불씨를 훔쳤죠. 그 불은 단순한 불꽃이 아니었어요. 문명, 예술, 사유 등 인간이 ‘신의 영역’으로 걸어 들어가는 시작이었지요. 하지만 제우스는 분노했습니다.

 

“감히 신의 불을 인간에게 주다니!”

 

그는 프로메테우스를 카프카스산맥의 절벽에 결박했어요. 그리고 독수리 한 마리를 보내 매일 그의 간을 쪼아 먹게 했지요. 밤이면 상처가 회복되고, 낮이면 다시 고통이 시작되는 영원의 형벌이었습니다. 카프카스의 바람은 매일 그 신의 신음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프로메테우스는 끝내 외치지 않았습니다.

 

“고통이란, 신이 인간에게 가르치는 또 다른 불이다.”

 

수백 년이 흐른 뒤, 인간의 영웅 헤라클레스가 나타났습니다. 그는 활로 독수리를 쏘아 떨어뜨리고, 쇠사슬을 끊어 프로메테우스를 자유롭게 했지요. 그날 이후 불은 신의 것이 아니라, 인간의 손에 남게 되었습니다. 카프카스 사람들은 지금도 산맥의 바람 속에서 불을 피우며 기도합니다. 그 불꽃은 단순한 열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고 창조하는 인간의 영혼을 상징하지요. 오늘 밤, 창가의 촛불이 유난히 흔들린다면 그건 어쩌면 프로메테우스가 건네는 속삭임일지도 모릅니다.

 

“두려워 말라. 신의 불은 이미 네 안에 있다.”

 

불은 단지 따뜻함의 상징이 아니라, 인간이 스스로 운명을 개척할 수 있다는 믿음의 불씨이기도 했습니다. 프로메테우스가 카프카스산맥의 바위에 묶여 있던 그 시간 동안, 인간은 비로소 불을 통해 스스로의 길을 찾기 시작했지요. 어쩌면 인간의 문명, 예술, 철학 등 모든 것은 프로메테우스의 희생에서 태어난 불의 언어일지도 모릅니다.

 

한 편의 작은 드라마, [3분 신화극장]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저는 코스미안뉴스 김미희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작성 2025.10.11 11:20 수정 2025.10.11 11:2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