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첫 한글날 공식 기념… 주브라질한국문화원 ‘이름을 올바르게 부르는 것이 곧 존중입니다’ 캠페인 전개

주브라질한국문화원(원장 김철홍)은 브라질 상파울루주가 올해 처음으로 한글날(10월 9일)을 공식 기념일로 지정한 것을 맞아 ‘이름을 올바르게 부르는 것이 곧 존중입니다(Nomear é respeitar)’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주브라질한국문화원이 주최하고, 주상파울루대한민국총영사관과 상파울루한국교육원, 상파울루대학교(USP) 인문학부가 협력 기관으로 참여한다. 브라질 사회에서 자주 혼용되는 한국문화 관련 용어를 바로잡고 정확한 명칭 사용을 장려함으로써 문화적 이해와 상호 존중을 확산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브라질에서는 K-드라마를 ‘도라마(Dorama)’, 김밥을 ‘스시(Sushi)’, 한복을 ‘기모노(Kimono)’로 부르는 등 일본어식 표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소주를 ‘사케(Sake)’, 간장을 ‘쇼유(Shoyu)’, 젓가락을 ‘하시(Hashi)’라고 부르는 사례도 빈번하다. 이러한 현상은 1980년대부터 브라질 사회에 깊이 자리 잡은 일본 대중문화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김철홍 문화원장은 “김밥을 스시로, 드라마를 도라마로 부르는 일은 단순한 착오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름을 정확히 부르는 것은 문화적 존중의 출발점”이라며 “이번 캠페인은 언어 속에 담긴 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이라고 밝혔다.


문화원은 이번 캠페인의 일환으로 브라질에서 자주 혼용되는 한국문화 관련 단어를 정리해 비교·설명한 ‘혼용 용어 가이드북’을 제작했다. 가이드북은 현지 언론인, 교육자, 콘텐츠 제작자 등에게 배포되며, 일반 대중도 문화원 공식 홈페이지에서 열람할 수 있다.

또한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세종학당과 공동으로 상파울루대학교 인문학부에서 김지윤 한국어 교수의 초청 강연 ‘왜 한국인은 이렇게 말할까? - 한국어가 보여주는 한국인의 사고방식’을 개최해 현지 대학생과 시민들의 높은 관심을 모았다.

작성 2025.10.13 08:59 수정 2025.10.13 08:59

RSS피드 기사제공처 : 출판교육문화 뉴스 / 등록기자: ipec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