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치열이 삐뚤어지기 시작하면 부모님들은 고민에 빠진다. "언제 교정을 시작해야 할까?", "아직 유치가 있는데 괜찮을까?" 하지만 성장교정은 단순히 치아를 배열하는 성인 교정과 개념이 다르다. 아이의 턱뼈 성장이 왕성한 '골든타임'을 활용해, 얼굴 골격의 성장을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하는 장기적인 치료 전략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서는 '언제' 개입하느냐, 즉 치료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1단계: 검진의 골든타임 (만 6~7세) 
본격적인 치료와는 별개로, 첫 영구치가 나기 시작하는 만 6~7세는 첫 교정 검진을 받기에 가장 이상적인 시기다. 이 단계의 목표는 당장의 치료가 아니라, 데이터에 기반한 '미래 예측'에 있다.
강남의 한 치과교정과 전문의는 "이 시기에 얼굴 사진, 파노라마 엑스레이, 구강 스캔 등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영구치들의 상태와 위턱, 아래턱의 성장 패턴을 미리 분석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향후 주걱턱이나 안면비대칭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예측하고, 가장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미리 세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치가 남아있어도 진단은 충분하며, 이 시기의 정확한 분석이 향후 불필요한 발치나 수술의 가능성을 낮추는 첫걸음이 된다.
2단계: 치료 개입의 골든타임 (사춘기 급성장기 전) 
정밀 진단 후, 적극적인 치료 개입이 필요한 시기는 아이의 성장 단계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턱뼈 성장이 가장 활발한 사춘기 급성장기 이전에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주걱턱 성향: 아래턱의 성장이 위턱보다 빠르다고 판단되면, '페이스마스크'와 같은 장치를 이용해 위턱의 성장을 촉진하고 아래턱의 과성장을 억제하는 치료를 조기에 시작할 수 있다.
돌출입 및 무턱 성향: 반대로 위턱의 성장이 과도하면 '헤드기어'를 사용해 성장을 조절하고, 아래턱의 성장을 유도하여 균형을 맞춘다.
좁은 위턱과 구강호흡: 위턱이 좁아 코로 숨쉬기 힘들어하는 경우, '상악궁 확장장치'로 턱뼈를 넓혀주면 비강의 호흡을 개선하고, 아래턱이 틀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처럼 성장기에는 간단한 장치를 통해 뼈의 성장을 조절할 수 있지만, 이 시기를 놓치고 뼈가 다 굳은 후에는 양악수술과 같은 어려운 방법으로만 해결이 가능할 수 있다.
치료의 절반은 가정에서: 생활 습관의 중요성 
성공적인 성장교정은 치과에서의 치료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구강호흡, 혀 내밀기, 손가락 빨기, 턱 괴기 등 잘못된 생활 습관은 교정 장치의 효과를 반감시키고, 치료가 끝난 후에도 문제를 재발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따라서 교정 치료와 함께 가정에서 아이의 호흡, 자세, 저작 습관 등을 올바르게 교정해주는 부모의 노력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교정 전문가들은 성장교정의 핵심은 외형보다 기능을 먼저 바로 세우고, 아이의 현재보다 10년 뒤의 건강한 성장을 내다보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성장의 분기점마다 정확한 진단을 통해 필요한 치료를 적시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아이의 건강한 기능과 아름다운 미소를 지켜주는 것은 물론, 미래에 겪을 수 있는 수술의 부담까지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
[도움말 = 강남역 워싱턴치과교정과 치과의원 이근혜 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