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곡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
홍수연 원장 “읽고 이해하는 힘이 모든 학습의 시작입니다.”

아소비·책통클럽·공필왕, 세 브랜드가 만든 완전한 학습 흐름

▲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 홍수연 원장

 

기자가 마곡에 위치한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을 찾은 이유는 단순했다. 이곳은 한글을 막 배우는 유아부터 중·고등학생까지, ‘읽기’라는 공통된 키워드로 아이들의 사고력과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기르는 공간으로 입소문이 나 있었기 때문이다.

 

▲ 사진 =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

 

홍수연 원장은 인터뷰 내내 “공부의 시작은 결국 읽기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녀는 “아이들이 교과서를 읽고도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는 단어 때문이 아니라 ‘정확히 읽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이에요. 그 기본기를 다져주는 곳이 바로 아소비책통클럽입니다.”라고 설명했다.

 

▲ 사진 =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

 

홍 원장은 세 가지 브랜드를 함께 운영 중이다.

5세부터 초2까지 한글, 국어, 수학, 한자, 칠교를 배우는 ‘아소비’,

정확한 독해와 사고력을 훈련하는 초·중등 대상의 ‘책통클럽’,

그리고 교과 기반 자기주도 학습법을 훈련하는 ‘공필왕’이 그것이다.

 

“단계별로 보면 아소비는 기초 한글, 책통은 독해력, 공필왕은 교과 응용력이에요. 결국 초등 입학 전부터 고등까지 하나의 큰 학습 루프를 완성하는 셈이죠.”

 

▲ 사진 =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

 

아소비는 놀듯 배우는 한글, 실패 확률이 낮은 시스템이에요” 홍수연 원장은 수년간 여러 한글 프로그램을 경험한 뒤, 아소비를 선택했다. “아소비는 단계 간 브릿지가 정말 잘 설계되어 있어요. 1단계에서 2단계로 넘어갈 때도 세분화된 소단계가 있어서 아이들이 ‘어렵다’는 느낌 없이 자연스럽게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무엇보다 아이들이 학원에 오면서 “공부하러 간다”가 아니라 “놀러 간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수업 분위기를 중시한다.

 

▲ 사진 =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주체성입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책꽂이에서 교재를 고르고, 순서를 정하고, 앉을 자리를 선택하게 해요. ‘내가 공부를 끌고 간다’는 느낌이 들면 그때부터 학습에 대한 태도가 달라집니다.”

 

▲ 사진 =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

 

책통클럽은 단순히 독후활동을 하는 곳이 아니다.

홍 원장은 “책을 읽는다고 해서 모두가 내용을 이해하는 건 아니에요. 책통클럽은 ‘정확히 읽고 이해하는 법’을 단계적으로 훈련하는 곳입니다”라고 설명했다.

 

▲ 사진 =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

 

그녀는 “많은 아이들이 만화책만 읽거나, 글자만 있는 책은 힘들어하죠. 그런데 어느 순간 삼국지 전집을 스스로 읽기 시작하는 아이들을 보면, 진짜 변화가 일어나는 걸 느껴요. 그 아이의 부모님은 결국 다른 학원은 다 끊고 책통만 다닌다고 하네요.”라고 웃으며 말했다.

 

공필왕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법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이다.

“공부를 잘하려면 교과서를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해요. ‘읽어도 이해가 안 된다’는 건 방법을 몰라서 그렇죠. 공필왕은 교재 분석과 정리법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프로그램이에요.”

 

홍 원장은 “결국 공부의 끝은 자기주도 학습이에요. 아이들이 ‘이제 혼자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되는 순간이 공필왕의 핵심입니다.”라고 말했다.

 

▲ 사진 =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 어린이 축제

 

홍 원장은 단순히 지식 전달자가 아닌 페이스메이커(페이스 조절자)로서의 교사를 강조한다. “중학생들은 힘들어서 포기하려는 순간이 많아요. 그럴 때 ‘괜찮아, 내가 옆에서 같이 뛰고 있어’라고 느끼게 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말 한마디가 아이를 다시 일으켜 세워요.”

 

이처럼 학생의 정서와 학습 리듬을 함께 관리하는 시스템이 마곡센터의 가장 큰 강점이다.

홍 원장은 “같은 프로그램이라도 아이마다 소화 속도와 이해 포인트가 다르다”며 “언어학을 전공한 덕분에, 아이들이 어디에서 막히는지를 빠르게 캐치하고 그 부분을 풀어주는 것이 저만의 노하우”라고 덧붙였다.

 

▲ 사진 =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 어린이 축제

 

홍 원장에게는 기억에 남는 학생들이 많이 있다. “한글을 못 읽던 초등 1학년 아이가 있었어요. 다른 프랜차이즈를 다 경험했는데도 안 됐죠. 그런데 아소비를 통해 한글을 배우고, 지금은 글을 읽으며 스스로 이야기까지 써요. 부모님이 울면서 감사 인사를 하셨죠.”

 

또 다른 사례로는 만화책만 읽던 아이가 책통클럽을 통해 글책의 재미를 깨닫고, 삼국지를 완독한 이야기를 전했다. “이 친구는 이제 책을 읽는 게 ‘공부’가 아니라 ‘즐거움’이 됐어요.”

 

교육정책 변화에 대한 홍 원장의 시각은 단호하다. “정책은 계속 바뀌어요. 하지만 결국 대학이 원하는 인재는 같아요. 새로운 내용을 보고, 이해하고, 이를 자신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아이. 그게 모든 교육의 결론이에요.”

그녀는 “그래서 저는 정책이 바뀌어도 흔들리지 않아요. 결국 다시 ‘읽기력’으로 돌아오거든요.”라고 말했다.

 

▲ 사진 = 아소비책통클럽 마곡센트럴학원 설명회

 

마지막으로 부모들에게 조언을 부탁하자, 홍 원장은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7세, 초1을 인생의 전부처럼 생각하지 마세요. 조금 느려도 괜찮아요. 아이가 공부를 즐기게 만드는 게 진짜 교육이에요.” 또한 “부모님도 교육에 관련해 궁금한 부분이 있으면 그 분야의 책 최소 세 권은 꼭 읽어보세요. 검색보다 독서를 통해 생각해야 우리 아이의 방향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고, 그래야 중심있는 교육관 안에서 아이가 혼란스러워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 사진 = 홍수연 원장

 

홍수연 원장의 교육관은 한결같았다.

“공부의 시작과 끝은 ‘읽기’다.”

그녀는 화려한 말보다 실질적인 방법으로, 한글부터 교과서까지 아이들의 성장을 돕는다.

마곡의 한 교실에서 시작된 이 작은 실험은, 결국 ‘아이의 내면 성장’을 향한 가장 단단한 교육의 길이었다.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asobimagokcenter/

블로그 https://blog.naver.com/asobimagokcenter

작성 2025.11.03 21:02 수정 2025.11.03 21:02

RSS피드 기사제공처 : 생생투데이 / 등록기자: 박성준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