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읍성 해자 설치시기 15세기로 밝혀져

읍성 해자 출토 말목 분석 결과 1482~1646년 사이

읍성 정확한 축조 연대 밝힐 수 있는 근거 마련

읍성 해자 출토 말목 분석 결과 1482~1646년 사이
읍성 해자 출토 말목 분석 결과 1482~1646년 사이


상주읍성 해자에서 출토된 말목의 연대가 15세기로 밝혀져 고고학적으로 상주읍성의 축조 연대를 밝힐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 


상주박물관(관장 윤호필)은 지난 2019년 상주읍성지 유적을 학술발굴해 상주주조주식회사와 관련된 근대 건물지, 조선시대 건물지 그리고 읍성 해자(垓字·읍성 주위를 둘러 파서 만든 못)를 조사한 바 있다. 


읍성 해자는 지역에서 처음 실체가 드러난 것으로, 조사 구역의 남쪽 경계부근에서 확인되었는데 폭 260~310cm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 마무리 과정에서 해자 북쪽 경계 부분에 말목이 여러 점 확인되었는데 이는 지반약화 방지를 위해 설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확인된 말목이 읍성 해자의 연대를 알 수 있는 자료임을 감안해 박물관 측은 수습한 말목 2점을 미국 ‘베타연구소’에 자연과학적 분석을 지난해 12월 의뢰했다. 

 

가속질량분석기(AMS)를 통한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 보정연대가 1482~1646년(Probability 95.4%)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읍성 해자는 15세기 이전부터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상주읍성과 관련된 여러 고문헌(‘상산지’ 등)의 기록과도 일치하는 것이다.  


상주박물관 측은 “상주읍성지 학술발굴조사를 통해 지역에서 처음으로 해자의 존재를 밝힌 것도 큰 성과지만 해자 내부에서 말목이 확인되어 해자의 축조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것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앞으로도 발굴조사와 문헌기록, 여러 가지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고 밝혔다. 


박물관에서는 읍성 해자 내부 말목 가운데 양호한 9점을 전문기관에 의뢰해 보존처리를 진행 중이며, 처리가 완료되면 시민들이 볼 수 있도록 전시할 예정이다. 

 


이동훈 기자
작성 2020.02.10 09:19 수정 2020.02.10 09:19

RSS피드 기사제공처 : 사회안전.학교폭력예방신문 / 등록기자: 이동훈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일본군 #위안소
#일제강제노동
#친일파 #친일반민특위하자
#박정희 #독도밀약 #전두환증거인멸 #독도지키미#고문 #이승만박정희 ..
#제암리 #고주리사건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