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와 평화를 위해 헌신한 대한민국 땅에서 영원히 잠들다’

- 美 6·25참전용사 보이드 왓츠(Boyd Watts), 유엔기념공원 안장식 개최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미국 6·25참전용사인 고(故) 보이드 왓츠(Boyd Watts, 만 88세)씨의 안장식이 오는 7일(화) 14시, 유엔기념공원(부산 남구)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특히, 6·25전쟁 제70주년을 맞은 해에 진행되는 첫 유엔 참전용사 안장식으로 그 의미를 더한다.


이번 안장식은 미망인과 아들이 참석한 가운데, 유엔사령부 의장대가 함께하는 경건한 의식으로 개회사, 추모사, 조총, 조곡 연주, 안장, 헌화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이 자리에는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를 대표하여 권율정 부산지방보훈청장과 미국정부를 대표하여 다니엘 게닥트(Daniel C. Gedacht) 주(駐) 부산 미국영사관 선임영사, 유엔사령부를 대표하여 햄자 로지(Hamzah Lodge) 주한 미 해군사령부 의전 장교가 참석할 예정이다.


다니엘 게닥트 선임영사는 추모사를 통해 고인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고, 유해 안장 후 참석한 각 대표가 국화꽃을 헌화하며 애도의 마음을 전한다.


보이드 왓츠는 18세의 나이로 6·25전쟁이 한창이던 지난 1950년 12월부터 1952년 1월까지 참전하여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헌신했다.


참전 당시 그가 속한 부대는 대구지역의 다리를 폭파해 적이 남하하는 것을 저지했고, 그는 전투 강행군 이후 극심한 추위로 신장 질환이 악화되어 부산에 있는 스웨덴 병원에 입원했으며, 1952년 1월 일본으로 후송된 뒤 귀국했다.


참전 이후 공을 인정받아 한국전쟁 종군기장(Korean Service Medal)과 유엔 종군기장(United Nations Service Medal)을 수여 받기도 하였다.

보이드 왓츠의 대한민국과의 인연은 6·25전쟁 참전에만 그친 것이 아니었다.


전역 이후 1957년 다시 입대해 경기도 의정부 통신대대에 배치됐고, 이어 미국, 독일 등지에서 복무한 뒤 다시 한국에서 세 번째 복무하고 1970년에 전역했다.


또한, 그는 한국인 부인을 만나 행복한 가정을 꾸렸고 1991년 20여 년 만에 다시 부산을 방문했을 당시 “새로운 세상이 된 한국의 발전된 모습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라고 했다.


한국을 좋아하고 부산을 사랑한 그는 2014년 아내와 함께 부산으로 돌아와 그의 생애 마지막 날까지 지냈다.


그리고 이제는 부인과 아들이 있는 부산에서 유엔기념공원 동료 전우와 함께 영원한 안식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그와 함께 지내오던 아들은 “아버지는 자신에게 항상 자상한 사람이었고 그런 아버지를 진심으로 사랑한다.”라고 고인을 회상했다.


한편, 국가보훈처에서는 6·25전쟁 당시 낯선 나라의 국민들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기꺼이 헌신한 유엔 참전용사들의 ‘마지막 가는 길’을 예우해 드리기 위해 지금까지 유해 봉환식과 안장식을 지원하고 있다.


국외 거주하시다 돌아가신 경우, 유가족이 희망 의사가 있을 때 그 유해를 한국으로 모셔와 인천국제공항에서 유해 봉환식을 진행하고, 이어 전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지인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안장식을 거행하게 된다.


이번 경우처럼 국내 거주 참전용사는 안장식만을 거행한다.


특히, 유엔 참전용사의 부산 유엔기념공원 사후 개별안장은 이번이 11번째로, 지금까지 한분 한분에게 대한민국 정부 차원의 최고 의전과 예우로 의식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예우에 대하여 작년 2월, 영국 참전용사 고(故) 윌리엄 스피크먼씨의 안장식 당시 그의 아들은 “제 부친께서 선택하신 장소에서 안장식을 거행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정부의 지원과 초청을 받아 이곳에 오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고 기쁘게 생각한다.”라고 감사의 뜻을 밝힌 바 있다. 
         
아울러 국가보훈처는 6·25전쟁에 참전한 195만여 명의 유엔 참전용사에 대한 정부 차원의 예우와 22개 유엔참전국과의 우호증진 등을 내용으로 하는「유엔참전용사의 명예선양 등에 관한 법률」제정안을 지난 3월에 공포하였고 그 시행을 앞두고 있다.


특히, 올해 6․25전쟁 7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헌신하신 유엔 참전용사와 유가족에게 경의를 표하고 그 희생이 헛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기억’, ‘함께’, ‘평화’라는 주제로 다양한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주철 기자
작성 2020.04.06 09:14 수정 2020.04.06 09:14

RSS피드 기사제공처 : 보훈보상뉴스 / 등록기자: 최주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