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랑부리뉴스 발간 축사>

진정 시화호를 살펴 가꾸는 ‘시화호사람’들의 아름다움

‘시화호 사람’들의 아름다움이 먼 훗날에 박수 받을 수 있도록..


햇살이 점점 돋아 오르는 4월의 꼬리가 저 많치 보이는 듯합니다.


밤새 비가 지난 후 햇살의 투명함 때문일까? 길가의 한그루 개복숭아나무 가지의 붉은빛이 더욱 눈에 듭니다. 멀잖아 누구 들여다보아주는 사람 없어도 저 홀로 붉게 흐드러져 부끄러워하겠지요.

 

남양 가는 길 南陽途中

 

복숭아길 강남 땅 고향엔 돌아가지 못하는데 桃梗江南歸計差

두견새는 슬피 울고 나무엔 꽃이 피네 杜鵑啼血樹生花

농부는 긴 보습으로 누런 도랑을 갈고 있고 農夫黃獰長滑耕

처녀들은 하얀 팔 뻗어 뽕을 따는 구나 桑女靑條皓腕斜

 

-유몽인(柳夢寅.1559~1623) 1603, 기전(畿甸)지방 남양을 암행할 때 남긴 시() 한 구절.

 

400여년 전, 유몽인은 왕명으로 암행어사가 되어 경기서남부 시화호지역을 살피게 됩니다. 봄은 무르익어 꽃은 피는데 백성들의 보릿고개막바지에 더욱 시름 깊었겠지요. 농부들은 그 시름 잊으려고 부지런히 일을 합니다. 그런 정감을 애써 살핀 애민의 감정이 너무 곱습니다.

 

<노랑부리신문>의 살핌이 먼 훗날 이와 같지 않으련가? 진정 시화호를 살펴 가꾸는 시화호사람들의 아름다움 무궁하여 그 길이 끊임없기를 축원합니다지금은 간석지라고 하지만, 위의 시인이 활동하던 시기에는 해택(海澤)’이라 기록하였더군요. 이 또한 우리의 바다를, 시화호를 가꾸었던 조상들이 개펄을 어떻게 인식하였고, 어떤 가치관을 통해 지켜왔는지 그 정신을 읽어야 하겟습니다. 이는 오늘을 살아 영원함을 추구하는 시화호사람들의 진정함이라고 말하려 함이 아닐까요?

 

시화호 사람들의 아름다움이 먼 훗날에 박수 받을 수 있도록 유장하기를 기원하면서 <노랑부리뉴스> 발간을 축하하여 그 바램의 굄돌 하나를 놓습니다.


시화호 사람들이여 늘 여여강건 하시길 기원합니다


화성가꿈이 (향토사학자) 박대진


이유철 기자
작성 2020.04.08 15:29 수정 2020.04.11 15:52

RSS피드 기사제공처 : 노랑부리신문(시화간척지 소식지) / 등록기자: 이유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