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오후 1시 경 이천 모가면 물류창고 신축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현장 작업자 78명 가운데 38명이 숨지고 10명이 부상당하는 참사였다.
불길은 물류 창고 지하 2층에서 우레탄 도포 작업 중 원인 미상의 폭발이 발생하면서 시작되었고, 우레탄이 대량의 유독가스 원인이 되면서 인명피해를 키웠다. 같은 날 오후 6시 42분 불길은 진화되었으나, 인명피해가 컸다.
이번 참사에 대해 사람들은 공사장 대형 화재 사건이 반복되는 점에서 과거의 사건에서 교훈을 배우지 못했고 이전에도 안전관리 소홀로 경고를 받았음에도 화재 당시 안전관리자가 없었다는 정황이 포착되었다며 예견된 인재라고 분노하고 있다.
특히 이번 사건은 12년 전 2008년 이천 냉동창고 화재 참사와 유사한 점이 많다는 것에서 더욱 더 정부에 쓴소리가 나오는 상황이다.
12년 전, 이천 냉동 창고 화재에서는 이번 화재와 마찬가지로 우레탄폼을 벽에 채우려다 불이 붙어, 우레탄 폼으로 인해 유독가스가 타면서 피해가 커져 일용직 노동자 40여 명이 희생되었다.
당시, 참사 이후 건축 소재를 규제하는 법안이 발의되었으나, 소재를 제한할 경우 건설에 있어 경제적인 부담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며 법안이 허술하게 통과되었고 규제도 강력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때문에 공사 현장에서는 불에 잘 타고 불이 붙을 경우 유독가스가 많이 나오는 우레탄폼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었다. ‘위험의 외주화’의 문제도 여전했다. 일용직 노동자라 안전에 대한 충분한 보호가 없었고, 공사장 안전 관리도 미흡했다.
이에 대해 지금까지의 솜방망이 처벌을 비판하며 ‘중대재해기업처벌법’으로 강력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더불어 높아지고 있다.
정부 또한 있어서는 안 될 사고였다며 책임자를 엄정히 처벌하겠다고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