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등교중단으로 사용하지 못한 학교 무상급식비를 쌓아두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반면 경기도는 무상급식 예산은 학생들의 ‘먹거리 복지’에 사용하기로 해 비교되고 있다.
5일 인천시와 구와 군에 따르면 등교가 미뤄지며 사용하지 못해 남은 무상급식비 약 133억 원을 세입으로 잡아 놨다.
앞서 지난 4월 농림축산식품부와 시·도 지자체는 예산 2717억 원 중 상당수를 ‘학생 가정 농산물 꾸러미’ 사업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등교 지연으로 급식에 사용될 농산물의 판로가 막힌 친환경 재배농가와 납품업체, 학생들을 위해 사용한다는 취지다.
그러나 인천시는 무상급식 예산 133여 억 원을 세입으로 책정한 만큼 이 예산의 사용처는 어디가 될지 알 수 없게 됐다.
인천시의 경우 31만8000명의 초·중·고교생 무상급식비는 234여 억원 달한다.
시는 이 중 101억3000만원을 이달 학생 1인당 3만원씩 소요되는 ‘쌀 꾸러미’ 사업에 투입한다.
남은 133여 억원은 시와 시교육청, 구·군별 무상급식비 분담 비율대로 추경 등에 편성하기로 했다.
반면 경기도는 지난달 도교육청, 시군과 협의해 학생 169만3057여 명의 무상급식 잔여 예산 1700억원 상당을 ‘먹거리 복지’ 등에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학생 1인당 10만원의 예산은 식재료 꾸러미와 농협몰 포인트 각각 5만 원씩 제공한다.
학교별 운영위원회는 품목과 업체를 선정하면 배송, 택배 등의 방식으로 가정에 전달하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