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모든 사업장이 환경안전 국제 공인 기구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폐기물 매립 제로’ 사업장으로 지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11일 환경안전 국제기구에 따르면 UL은 1894년 미국에서 설립됐으며, 제품 안전에 관한 표준 개발, 인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제 안전 인증 시험기관이다.
삼성전자는 1월 미국 오스틴을 시작으로 국내외 총 8개 사업장에 대해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인 골드 등급을 획득했다.
이번에 인증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장의 자원순환율은 국내 평균 대비 10% 이상 높은 수준으로 국내 반도체사업장의 폐기물 총량 약 60만톤 중 59만톤 이상이 재활용 또는 열에너지로 회수된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증으로 매년 온실가스 2640톤 절감하고 소나무 40만 그루 심는 효과를 내고 있다.
특히 반도체 연구개발인력이 근무하는 화성 DSR타워는 국내 최초로 매립 폐기물 완전 제로를 달성해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했다.
삼성전자는 90년대 후반부터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폐수 슬러지(화학물질 결정)를 시멘트 제조의 원료로 사용하는 등 자원순환을 위한 노력해왔다.
‘2018년부터는 본격적으로 ‘폐기물 배출 제로’를 목표로 정하고 다양한 폐기물의 재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고 시설투자를 진행해 왔다.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은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다시 자원으로 활용하는 비율에 따라 플래티넘(100%), 골드(99~95%), 실버(94~90%), 인증(80%이상)의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로 기업의 자원순환 노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UL코리아 정현석 대표는 “삼성전자는 폐기물 처리 협력사와의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연구와 새로운 시도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러한 협력의 성과로 전 사업장에서 높은 등급을 획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