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수술 후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환자 생존율 높여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팀

- 위암 수술 후 제균 치료 받은 환자, 생존율↑ 사망률↓ 암 재발률↓ -

 

 수술 받은 조기 위암 및 진행성 위암 환자 중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1,031명 대상 연구 진행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받은 451(43.7%), 제균 치료 받지 않거나 실패한 580(56.3%) 두 그룹 간 비교

제균 치료 받지 않은 그룹, 전체 사망 위험 5.86, 위암 관련 사망 위험 3.41배 높게 나타나

제균 치료 그룹의 생존율 역시 증가된 결과 확인, 특히 진행성 위암에서 생존율 효과 뚜렷

암 재발 위험 2.70배 높아, 헬리코박터균 제균은 암 재발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위암 수술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제균 치료를 받으면 생존율은 높아지고 사망 위험과 암 재발 위험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팀(최용훈 임상강사)은 위부분절제술을 받은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제균이 이뤄진 그룹과 비제균 그룹간의 비교를 통해 생존율, 사망률, 암 재발률을 확인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제균 여부에 따른 생존율과 전체적인 예후를 확인한 것은 전 세계적으로 처음 발표된 결과다.

 

연구팀은 2003년부터 2017년까지 15년 동안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진단수술을 받은 조기 위암 및 진행성 위암 환자 중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1,03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 1,031명 중에서 성공적으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는 451(43.7%), 제균 치료를 받지 않거나 실패한 환자는 580(56.3%)이었다.

 

15년 동안의 추적관찰을 통해 확인한 생존율에서는 전체 생존율이 96.5%(제균) vs 79.9%(비제균), 위암 관련 생존율이 97.6%(제균) vs 92.5%(비제균)로 제균 치료 그룹의 생존율이 보다 높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생존율 향상 효과는 조기 위암은 물론 진행성 위암에서도 뚜렷하게 확인됐다. 조기 위암은 비교적 예후가 좋아 장기 생존율에 큰 차이가 없을 수 있지만, 진행성 위암에서 나타난 생존율의 차이는 그 의미하는 바가 크다.

구분

헬리코박터 제균(O)

헬리코박터 제균(X)

전체 생존율

96.5%

79.9%

위암 관련 생존율

97.6%

92.5%

조기위암

전체 생존율

98.6%

86.7%

위암 관련 생존율

99.7%

97.5%

진행성 위암

전체 생존율

91.2%

64.9%

위암 관련 생존율

92.2%

81.3%

 

두 그룹의 사망률 분석에서도 제균 그룹에 비해 비제균 그룹에서의 사망 위험도가 높았는데, 전체 사망 위험은 5.86, 위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3.41배 높게 확인됐다.

구분

사망 위험비

위암 관련 사망 위험비

암 재발 위험비

헬리코박터 제균(O)

1

1

1

헬리코박터 제균(X)

5.86

(p<0.001)

3.41

(p<0.001)

2.70

((p=0.005)

아울러 위 내 재발 및 복막전이, 간담도전이, (흉부) 림프절전이, 뇌전이 등 위암 제거 후 암 재발률은 제균 그룹이 2.2%(10/451), 비제균 그룹이 9.6%(56/580)이었다. 이를 토대로 한 다변량 분석에서 비제균 그룹의 암 재발 위험이 2.70배 높게 나타나 헬리코박터 제균이 암 재발도 억제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김나영 교수는 헬리코박터균은 위 조직에 미치는 영향 외에도 대사 증후군이나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제균 치료에 성공한 위암 환자들에서 암 재발 위험은 감소하고 생존율은 향상된 결과를 보인 만큼, 헬리코박터 제균이 위암과 전신 건강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교수는 아직까지는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가 조기 위암 환자에 대해서만 보험 적용이 되고 있지만 진행성 위암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진행성 위암에 대한 치료 역시 보험 적용을 인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위암 분야 국제학술지 ‘Gastric Cancer’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최주철 기자
작성 2020.06.12 15:01 수정 2020.06.12 15:01

RSS피드 기사제공처 : 보훈보상뉴스 / 등록기자: 최주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건강기능식품 케이와이비타민 #마크강 #ai
새의 자유
가을하늘
백범의 길 백범 김구 찬양가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
바다
광안리 바다의 아침
2025년 8월 18일
정명석을 조종하고 있던 진짜 세력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