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2개 대형국책 연구과제에 아주대의료원이 선정되는 성과를 냈다.
아주대의료원은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과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에 선정돼 6월부터 연구에 돌입했다고 15일 밝혔다.
2020년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인플라메이징 중개의학 연구센터(Inflamm-aging Translational Research Center, 센터장 박태준 교수, 생화학교실)‘는 오는 2029년 2월까지 9년동안 총 69여억원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는다.
아주대의료원은 노화세포 유래 염증인자에 관한 기전 연구와 인류가 극복해야 할 종양의 진행 및 치료제 저항성을 규명할 ‘노화세포 유래 염증성 미세환경 제어 전략 개발’ 분야로 개념과 치료 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이번에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에 선정된 ‘인플라메이징 중개의학 연구센터’는 지난 2003년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Chronic Inflammation Research Center)’로 설립된 이후 16년간 만성 염증 연구 및 의과학자·전문연구 인력양성을 수행해 왔다.
오랜 기간 축적된 만성 염증분야 연구성과와 전문인력 배출을 기반으로 2019년부터 노화성 염증을 주요 타깃으로 하는 연구를 중점으로 수행하는 연구센터로 특성화하여 운영되고 있다.
또한 아주대의료원은 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에도 선정돼 총 80여억원의 정부출연금을 받아 2028년까지 대구경북과학기술원과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를 통한 노화극복 기술개발’(총괄연구책임자 박태준 교수, 생화학교실) 연구를 진행한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는 젊은 세포로부터 방출되는 분비인자들 중 역 노화인자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 인간 노화 개체의 기능 역 노화를 유도, 인간 건강 장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두 연구과제의 노화세포 유래 염증과 중간노화세포의 역 노화기능 기전을 밝혀, 2030년에 초 고령화 사회에 수명연장을 넘어 건강한 장수를 대비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