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슬기 채취 중 사고로 3년간 6월에만 20명 사망

다슬기 채취할 때 안전수칙 꼭 지켜야

사진=소방청


다슬기 채취 활동이 증가하면서 사고도 늘어나고 있으며 6월이 가장 많다고 소방청이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7~2019) 다슬기 채취 관련 수난구조 출동은 142건이었다.


연평균 47건으로, 대부분 다슬기 채취가 가능한 5월부터 9*까지 많이 발생했고, 그중 6월이 가장 많아 전체의 34%48건이 일어났다.

연도별로는 2017년에 38(사망 12), 201867(사망 25), 201937(사망 15) 이었다. 지역별로는 강원도가 33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22, 충북 21, 경기 18, 경북 16, 전남 10, 전북 9건 대전·충남 6, 부산 1건 순이었다.


3년간 142건 중 목숨을 잃은 사고는 37%52명이었다. 지역별로는 강원도가 가장 많은 17, 충북 11, 경남·전북 5, 경기·경북 4, 전남 3, 충남 2, 대전이 1명이었다.


소방청은 다슬기 채취 시 안전수칙을 준수하도록 몇 가지를 당부했다. 두 명 이상 함께 활동할 것 음주 상태에서 채취 금지 건강에 이상이 있을 시에는 물에 들어가지 않을 것 지형을 미리 파악하고 낯선 곳이나 어두워진 뒤에 채취하지 않을 것 구명조끼를 필히 착용할 것 응급상황 시 주변 사람에게 알리고 즉시 119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소방청 관계자는 다슬기가 많이 잡히는 물속은 수심이 갑자기 깊어지는 곳이 많고, 이끼나 수초 때문에 미끄러워 중심을 잃고 물에 빠질 위험 요소가 많아 항상 주의가 필요하다며, 구명조끼 착용 등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

서문강 기자

    


서문강 기자
작성 2020.06.22 04:35 수정 2020.09.13 20:1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하늘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전통복장
전통의 힘
여군
[ECO IN - TV] 20250605 세계환경의 날 지구살리기+나무심..
[ECO IN - TV] 2024 환경공헌대상 초대 도션제 회장 #sho..
ai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빛나는 인생마실 #한연자 #ai한연자 #시니어크..
여름은 춤
2025년 8월 1일
전통의상
2025년 8월 1일
군인제기차기
홍천강 맥주축제
암환자의 체중관리. 유활도/유활의학
사슴벌레
2025년 7월 31일
구름 이름은?
무궁화
2025년 7월 28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