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 반딧불축제 직접판매 농산물코너

청정지역 고랭지라 농산물, 과일, 채소 맛이 좋아

사과, 호두, 찰옥수수, 천마, 포도, 산삼은 명품으로 판매

전국 어디나 택배 주문 발송



































무주군(茂朱郡)은 전라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내륙 고원지대로 대부분 지역이 해발 400500m 이상의 내륙 산간지방이다.  

연평균 기온 11내외로 고원상 지형으로 눈이 많고, 여름철은 서늘하여 고랭지농업이 발달했다

반딧불이 살고 있는 청정 무주군에서 자라는 과일과 약초, 채소는 타 지역과 맛이 확실히 다르다.

필자는 개막식을 알리는 길놀이 퍼레이드를 마치고 농민들이 직접 팔고 있는 농산물 코너로 가봤다








































무풍면 사과는 첩첩산중 산중턱에서 새소리, 물소리, 개구리소리, 풀벌레 소리, 반딧불을 보면서 자란 사과라 전국대회에서 

1등한 사과라고 하네요.








































무주호두는 해발 450~700m 고지대에서  한서의 맛을 보고 자란 호두라 그 맛이 최고라 합니다.

특히 토종 재래종 호두 맛은 별미로 중풍과 치매 예방에 좋다고 합니다. 

























쫀득쫀득한 무주 찰옥수수는 무풍, 적상설천면 일대에서 주로 수확을 하는데 1접당(100) 4~5만원이라 하네요.

비만다이아트간식용으로 좋다고 합니다선물로는 무주찰옥수수가 무난하다고 합니다.





























 무주 포도는 혀가 달아나는 맛으로 이 맛을 보다가 다른 지역에 가서 맛을 보면 신통치 않다고 하네요. 

























무주산 천마천마즙천마분말도 팔고 있었어요.

천마는 예로부터 "기사회생(起死回生)"의 약초로 중풍을 치료하는 "정풍초(正風草)"로 알려져 있는데 반신불수사지마비고혈압뇌출혈뇌졸중치매편두통우울증 등 뇌혈관질환 계통의 질병에 불가사의하다 할 만큼 효과가 뛰어나다고 합니다





























 무주산삼은 청정하고 고산대지라 그 향이 진하다고 합니다. 




























베리 종류의 왕, 아로니아입니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달맞이꽃 종자유가 보였습니다

달맞이꽃은 박꽃과 더불어 밤에만 피는 꽃으로 이 씨에는  月精이 들어있어 피부미용과 비만 해결마라톤선수가 복용하면 장거리 능력이 나온다고 합니다. 1병당 10만원입니다.





































 무주 생표고버섯은 덕유산 자락 700고지의 자연환경 속에서 자란 버섯이라 합니다.




































저녁시간이 되어 무풍면에서 운용하는 식당에 가봤습니다.





























부풍면에서 나온 국수입니다. 1그릇에 얼마 일까요? 

단돈 1,000원입니다. 저도 놀란 음식 값입니다. 



                               "인심좋은 무주! 그래서 저는 오늘도 찾아왔습니다." 




정진중 기자
작성 2018.09.04 18:51 수정 2018.09.05 08:46

RSS피드 기사제공처 : 산촌뉴스타임 / 등록기자: 정진중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광주루프탑카페 숲안에 문화복합공간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우산동카페 #광주..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