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통시장으로 지역경제 살린다

도 전통시장 특성화 사업 공모 앞당겨 추진

전통시장 자생력 강화 및 서민경제 활력 초점

경기도가 골목경제 활성화를 ‘2021년도 경기도형 전통시장 특성화 사업공모를 올해로 앞당긴다고 30일 밝혔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에 따르면 경기도형 전통시장 특성화 사업은 전통시장 종사자와 자영업자의 생업기반 강화하고 구도심 상권 부흥 목적으로 경기도 상권진흥구역 경기도 혁신시장 경기공유마켓 경기도 우수시장 4종으로 구성됐다.

 

도는 민선7기에 들어선 2019부터 2곳을 지정하고 참여시장 공모와 선정, 사업시작 최소하기 위해 올해 2곳을 추가 지정하는 앞으로 6곳을 상권진흥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경기도형 전통시장 특성화 사업중 경기도형 상권진흥구역은 전통시장과 주변을 상권진흥구역으로 지정, 다양한 지원책을 펼쳐 구도심 상권에 생기를 불어 넣고자 도입했다.

 

지정구역 1곳 당 시설 개선, 마케팅, 문화예술 공간 조성 등 상권 활성화에 필요한 예산을 4년간 최대 40억 원까지 지원받는다.

 

또한 해당 상권이 스스로 생존하고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각종 사업을 전담할 상권진흥센터를 설치한다.

 

상인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간 주도형 상권 자치 거버넌스인 상권진흥협의회도 운영된다.

 

혁신시장은 전통시장은 낙후됐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해 지역민과 함께하는 소통의 장을 만드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지난해 2곳을 선정, 올해 3곳을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

 

시장 1곳당 5억 원씩을 투자해 특화상품, 서비스, 관광자원 등 전통시장 특화요소를 발굴·개발, 서비스혁신 등을 통해 자생력을 유도한다.

 

특히 고객 신뢰회복과 가격·원산지 표시 강화, AS, 위생·청결 등 서비스 혁신과 상인조직역량 강화로 가고 싶은 전통시장으로의 변모를 꾀하게 된다.

 

경기공유마켓은 전통시장·골목상권·5일장 등과 연계된 장소에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누구나 판매자(Seller)로 참여할 수 있는 공유 상업공간을 만드는 것으로, 이번 공모에 3곳을 지정한다.

 

공유마켓 사업단 및 매니저를 통해 주민, 협동조합, 농업인, 푸드트럭 등과 함께 신규 고객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품목들과 프로그램을 발굴·다변화한다.

 

상인과 주민이 어울리는 커뮤니티 조성으로 상권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골자다. 이를 위해 시장 1곳 당 최대 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경기도 우수시장’20192, ’20201곳 선정에 이어 ’2021년 사업이 진행될 1곳을 이번에 선정한다.

 

경기도 역점 사업 중 하나로 우수시장으로 선정되면 1곳당 10억 원이 지원되며 설비 정비, 빈점포 등 공간활용, 홍보, 마케팅 등 맞춤형 종합 지원이 추진된다.

 

도 관계자는 “‘경기공유마켓외 특성화사업 3종은 작년보다 공모시기를 앞당겨 내년 사업의 공모를 진행하는 것으로, 이는 사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려는 경기도의 의지가 담겨있다고 말했다.

 


장현숙 기자
작성 2020.08.30 12:01 수정 2020.08.30 12:03

RSS피드 기사제공처 : 인천데일리 / 등록기자: 장현숙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