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신한류’로 세계에 확산한다

‘한국어, 세계를 잇다’

사진=문체부

우리나라 국민, 재외동포 세계적으로 한국어를 모국어 1언어로 사용하고 있는 인구는 7730여만 명이며, 이는 세계 모든 언어 14위에 해당한다. 특히 첨단기술을 앞세운 한국기업(12,590) 세계화, 한류 파급효과 등에 따라 우리나라의 위상이 상승하면서, 한국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작년 한국어능력시험(TOPIK) 접수자 수는 37 명을 돌파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올해 세종학당 신규지정 공모에는 역대 최다인 50개국 101 기관이 신청했다.

 

국제회의·행사 정부가 주관하거나 지원하는 행사를 중심으로 한국어가 공식 언어로 활용될 있도록 하여, 한국어의 국제적 지위를 높일 것이다. 2021년부터는 영어 주요 언어가 아닌 현지어와 한국어 통‧번역 전문* 한국영화, 웹툰, 문학 한류 콘텐츠 분야별 특화 인력 등을 양성하고 이와 관련된 전문연구 관련 자료 개발, 과정 운영을 통해 지에서의 한국어 관련 일자리를 창출한다.

 

일명 한류 3.0 단계인 2010 이후 세계적으로 나타난 한국문화에 호감이 한국어에 대한 관심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경향을 살려 ‘신한류’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을 더욱 확산하고, 국인들이 한국전통문화를 통해 한국어를 가깝게 접할 있도록 한복, 한지, 전통놀이 체험과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 보급한다.


이번 계획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확산과 직접 연관된 2021 정부안 산도 2020 대비 39% 증액한 555 원을 확보했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대면 방식으로 이어지고 있는 한국어 학습 열풍을 고려할 , 한국어 확산은 우리 문화와 산업의 대외 확장과 우리나라의 국가 위상을 높이는 크게 기여할 것이다.

 

서문강 기자





서문강 기자
작성 2020.09.02 11:25 수정 2020.09.02 11:2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