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오피스텔 아파트처럼 하자보수보증금 도입

공동주택관리법 개정 건의 제도적 의무화 추진

경기도는 오피스텔도 아파트처럼 하자보수보증금 예치 제도를 도입해 분양자와의 분쟁을 최소화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8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오피스텔 건축허가 시 하자보수보증금 예치를 건축주나 사업시행자에 적극 권장하도록 각 시군에 통보했다.

그 결과 현재 22개 ·군에서 오피스텔 준공 시 하자보수보증금을 예치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자보수보증금은 공사계약을 체결할 때 계약이행이 완료된 후 일정기간 시공상 하자 발생에 대비해 이에 대한 담보적 성격으로 납부하는 일정 금액을 말한다.

통상 계약 금액의 100분의 2 이상 100분의 10이하로 담보책임기간 동안 사용검사권자(시장ㆍ군수) 명의로 은행에 현금 예치, 보증으로 가입한다. 이후 건축물에 하자가 생겼을 때 입주자회의를 통해 이 하자보수보증금을 사용해 하자보수를 진행하게 된다.

 

아파트는 하자보수보증금의 예치를 공동주택관리법령에서 의무화하고 있지만 오피스텔은 없다. 이런 이유로 오피스텔 건축주가 도산하거나 하자처리에 소홀할 경우 건축주와 분양자 간 소송과 분쟁이 계속돼왔다.

 

용인시는 처음 하자보수보증금의 예치를 도입, 경기도는 용인시 사례를 전체 시군에 전파하고 2020년 건축행정건실화 평가 지표에 반영하는 등 도 전역으로 확산을 추진한다.

제도를 의무화를 위해 오피스텔도 하자보수보증금을 예치토록 하는 관련 법령 개정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오피스텔은 주택법상 준주택으로 주거시설로 인식되는 만큼 입주자 불편 해소와 권리 보호를 위해 아파트처럼 하자보수보증금 예치가 필요하다”면서 “나머지 ·에도 이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관계법령 개정을 통해 의무화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장현숙 기자
작성 2020.09.08 10:29 수정 2020.09.08 10:30

RSS피드 기사제공처 : 인천데일리 / 등록기자: 장현숙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