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이 보건복지부와 사회보장정보원에서 주관하는 ‘진료정보교류사업’에 선정돼 지난 8월부터 ’진료정보교류시스템‘을 구축,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1일 밝혔다.
진료정보교류(Health information Exchange, HIE)시스템은 의료의 연속성을 보장을 위한 진료정보교류사업으로 환자 동의할 경우 진료기록을 원하는 의료기관으로 송·수신하는 진료기록을 교류하는 시스템이다.
전자 교류가 가능한 문서는 ▲진료의뢰서 ▲진료 회송서 ▲진료기록요약지 ▲CT·MRI 등 영상 판독 소견서 등이다. 세부 내용으로는 ▲진단명 ▲진료소견 ▲약물처방내역 ▲검사내역 ▲수술내역 ▲영상정보 등이다.
아주대병원은 진료정보교류시스템 구축으로 의료진은 환자의 진료 정보를 확인, 과거 병력을 고려한 정확한 진단과 진료의 연속성을 확보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불필요한 검사를 줄여 환자에게 의료비용 절감 및 편리성을 제공,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환자는 의뢰된 병원 방문시 진료의뢰서나 영상기록 CD 등을 지참하지 않아도 돼, 진료에 필요한 서류 및 진료기록 등을 챙겨야 했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됐다.
아주대병원은 지난해 5월 진료정보교류사업 거점의료기관으로 선정된 이후 진료정보교류시스템 운영을 위한 프로세스 수립과 EMR 연계 개발, 보안관리, 문서 저장소 구축 등 의료기관 간 전료정보 교류 절차를 완료했다.
한편 아주대병원은 함께 사업에 참여한 협력기관을 포함하여 총 6000여 개의 병·의원과 진료 정보를 교류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