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드론 실명제 도입한다

2.19일 드론 기체신고제․조종자격 차등화 등 관리체계 개선안 입법예고

업계 간담회 등 충분한 의견 수렴 후 마련…안전과 활성화 모두 고려

 

(전국=한국드론뉴스닷컴) 정천권기자

= 내년부터 드론 실명제가 도입될 전

망이다.



드론의 성능이 높아지고 국민생활에 드

론의 활용이 급격히 늘어 남에 따라,

 성능과 위험도를 기준으로 드론을 4

가지 단계로 분류하여 관리를 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항공안전법 시행령

 항공안전법 시행규칙개정안을 2

19일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최근 국토부가 내년 219

드론기체신고제 조종자격 차등화 등

관리체계 개선안의 입법예고안을 소개

한다. 

 

□  내년부터는 최대이륙중량 2kg을 넘는 드론에 대해서는 기체를 신고하도록 하고, 250g을 넘는 드론을 조종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온라 교육을 받도록 하는 등 관리체계가 정비된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드론의 성능이 높아지고 국민생활에 드론의 활용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성능과 위험도를 기준으로 드론을 4가지 단계로 분류하여 관리를 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항공안전법 시행령항공안전법 시행규칙개정안219일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드론의 분류기준 4단계

 

 

 

완구용 모형비행장치(250g)

 

저위험 무인비행장치(250g7kg)


250g2kg 2kg7kg


중위험 무인비행장치(7kg25kg)

고위험 무인비행장치(25kg150kg)

 

이번 드론 관리체계 개선안의 주요내용은 일명 드론 실명제라고 하는 기체 신고제조종자격 차등화의 적용이다.

드론 실명제는 최대이륙중량 2kg을 넘는 드론 소유자에게 기체신고를 의무화하는 것으로, 국토교통부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앱 통해 누구나 쉽게 드론 기체신고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 (해외사례) 미국·중국·독일·호주는 250g 초과 기체, 스웨덴은 1.5kg 초과 기체, 프랑스는 2kg 초과 기체에 신고의무를 부과

현행 드론 조종자격은 사업용으로 사용하는 대형드론에만 적용되나, 앞으로는 250g에서 2kg까지 취미용 소형드론 조종자에게도 온라인 교육

을 받도록 하고, 2kg을 넘는 드론에 대해서는 일정 비행경력과 필기·실기시험을 단계별로 차등 적용할 계획으로 향후 세부기준을 마련

   하여 고시할 예정이다.

                  * 드론 조종자격 차등화()

              250g 2kg : 온라인 교육

              2kg 7kg : 비행경력(6시간) 및 필기시험

              7kg 25kg : 비행경력(10시간), 필기 및 실기시험(약식)

              25kg 150kg : 비행경력(20시간), 필기 및 실기시험


□  그 밖에 이번 개선안에서는 그간 드론 관련 규정의 해석과 적용에 혼란을 주던 자체중량최대이륙중량용어를 전 세계 추세에

  맞게 드론 성능 기반의 최대이륙중량으로 통일하여 규정하고,

ㅇ   비행금지구역이더라도 고 학교운동장에서는 지도자의 감독 아래 교육목적의 고도 20m 이내 드론 비행은 가능하도록 하고, 이와

   관련한 운용지침을 마련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이번 드론 관리체계 개선안은 그간 중점 추진해왔던 드론실증도시 지원, 드론공원 지정, 특별비행승인 기간 단축, 드론 기업지원

  ​허브 등 드론의 활용도를 높이고 국내 드론산업의 진흥을 위한 대책과 병행 추진하는 것으로 ··연 관계자와의 활발한 논의를 통

  해 지난 ‘18년말 초안을 마련한 이후 1년 여간 정책토론회, 관계기관 협의, 업계 간담회 등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쳐 마련되었다.


       국토교통부 김상도 항공정책실장드론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우리 생활 가까이 다가온 드론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불식시키는

  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드론 실명제를 시작으로 안전하고 편리한 드론의 운영환경 조성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이번 항공안전법 시행령항공안전법 시행규칙개정안은 입법예고, 부처협의,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5월경에 공포될 예정이며,드론 기체신고 및 조종자격 개정안은 ‘21.1.1.부터 시행된다.

ㅇ   국토교통부는 현재 드론을 보유하고 있으며 개정안 시행에 따라 기체신고와 조종자격 교육 대상에 새로이 포함되는 경우를 위해 시행 이후 신고·교육을 위한 유예기간을 둘 계획이다.

        

□  한편, 국토교통부는 올해 51일 시행을 앞두고 있는 드론 활용의 촉진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률(드론법, ‘19.4.30. 공포)의 하

  위법령안도 211일 입법예고했다.

     드론법 시행령드론법 시행규칙제정안은 드론산업 육성 정책을 체계적으로 수립·집행하기 위해 드론의 정의부터 정책 추진체

  계 지원방안까지 법률이 위임하고 있는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항공안전법 시행령항공안전법 시행규칙개정안 전문드론법 시행령드론법 시행규칙제정안 전문은 누리집

  ​(http://www.molit.go.kr)의 법령정보/입법예고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개정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경우 2020330일까지

  ​(드론법의 경우 323일까지) 우편, 팩스 또는 누리집을 통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 의견제출처: 339-012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11 국토교통부 첨단항공과 (전화: 044-201-4315, 4253, 팩스 044-201-5632)

 

 

 


정천권 기자
작성 2020.09.27 13:24 수정 2020.09.27 13:24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드론뉴스닷컴 / 등록기자: 정천권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