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연,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 국내 최장시간 비행

재해, 기상관측 등에 활용 및 고고도 무인기용 고성능 배터리 국내 개발도 지원

53시간 연속비행 기록 세워

(사진제공=항우연)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EA V-3)
(사진제공=항우연) 53시간 비행후 착륙.

     

       (전국=한국드론뉴스닷컴) 정천권기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임철호, 이하 항우연)은 지난 826대기가 희박한 고()고도에서 태양 에너지로 비행하는 고고도 장기체공 태양광 무인기(EAV-3, Electrical Aerial Vehicle)’53시간 연속비행을 했다고 밝혔다.

     

       고고도 장기체공 태양광 무인기(EAV-3)는 지난 2016년 고18km에서 90분 비행에 이어, 이번 비행시험에서는 고도12km~18km

  ​ 성층권에서의 16시간 비행을 포함, 국내 최장 시간 연속비행을 기록했다.

       지금까지 태양광 무인기 세계 최장 비행기록은 2018년 에어버스(Airbus DS)의 제퍼(Zephyr)가 기록한 26일 연속 비행으로 미국프리우스(Amprius) 사의 고성능 배터리를 독점 공급받아 세운 기록이다.


      항우연은 그 동안 고고도에서 비행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 팩 및 초경량 고강성 구조물 기술을 개발해 왔으며, 50km 거리까지 실시HD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통신 성능을 향상시켰다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EAV-3)는 고도 12km 이상의 성층권에서 수개월씩 장기 체공하면서 실시간으로 재해나 불법 어로감시, 통신 중계, 미세먼지나 기상 관측 등 인공위성을 보완하는 등의 임무를 보다 저렴하고 친환경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선진국이 앞 다투어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미래 기술 분야이다.


       항우연은 앞으로 고성능 배터리 팩 및 태양전지를 활용하여 고고도 장기체공 태양광 무인기(EAV-3)의 성능을 더욱 개선하여 고도12km이상의 성층권에서 수일~수개월간 장기체공하며 지상 관측, 대기자료 획득, 실시간 영상 전송, 통신 중계, 기상 관측 등 다양한  임무 수행 시험을 진행하고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 기술의 실용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이번 비행시험 결과 등을 국내 산업체와 공유해 고고도용 고성능 배터리 국산화 개발을 앞당길 수 있도록 관련 산업체와 긴밀

  하게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kdnnews@daum.net

 

 

 


정천권 기자
작성 2020.10.03 08:54 수정 2020.10.03 08:54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드론뉴스닷컴 / 등록기자: 정천권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