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동주택 절반은 수도권에 몰려

공동주택 중 52.4% 743만324호 수도권 쏠림

수도권 전국 아파트 47.8% 연립주택 50.8%

 

전국 공동주택 중 52.4%에 해당하는 743324호가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경기 광주시갑)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자료에 따르면 서울시에 2633287, 인천시에 925,627, 경기도에 3871,410호 등 수도권에 14168992호의 공동주택이 집중됐다.

 

건축법 시행령에 따르면, 공동주택은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로 구분된다.

 

아파트는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이고, 연립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를 초과,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을 말한다.

 

다세대 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1개 동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660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을 말한다.

 

서울시는 공동주택의 65.7%1731037호가 아파트, 29.5%777250호는 다세대주택, 4.7%123979호는 연립주택이다.

 

경기도는 79.3%3071,694호가 아파트, 17.4%672468호가 다세대주택, 3.3%126080호가 연립주택이었다.

 

인천시는 71.7%663608호가 아파트, 25.2%233124호가 다세대주택, 3.1%28,604호가 연립주택이었다.

 

아파트 현황을 자세히 보면, 서울시에서 아파트가 제일 많이 분포된 곳은 노원구로, 노원구 공동주택 대비 89.8%161,029호가 아파트였다.

 

이어 성동구로 84.6%67885, 강남3구인 서초구(92091), 강남구(123803), 송파구(118768)에는 총 334,662호의 아파트가 분포돼 있다.

 

경기도 31개 시·군 중 아파트 비율이 80%를 넘는 곳은 16곳이며,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곳은 하남시였다. 하남시 공동주택 76,159호 중 95.2%72,517호 였다. 김포시, 화성시도 각각 90.6%, 91.6% 아파트 비율을 보였다.

 

인천광역시 10개 시·군 중 연수구가 가장 높은 아파트 비율을 보였다. 연수구 공동주택 123,559호중 93.8%115,921호가 아파트였다.

 

서민층이 주로 거주하는 연립·다세대주택 현황을 살펴보면, 전국 공동주택 대비 연립주택은 3.9%548,534, 다세대주택은 15.4%2185,043호다.

 

다세대주택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했다. 전국 다세대주택 중 77% 1682,842호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연립주택도 전국 연립주택 대비 절반 넘게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서 다세대주택 비율이 높은 곳은 은평구로, 은평구 공동주택 중 51.4%68,924호가 다세대주택이며, 광진구 49.8%, 강북구 49.4%의 비율을 보였다.

 

서울시에서 연립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종로구였다. 종로구 공동주택 대비 19.1%6,599호가 연립주택이었다.

 

경기도에서 다세대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광주시로 광주시 공동주택 대비 51.8%56,642호가 다세대주택이었다. 연립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가평군으로 가평군 공동주택 대비 19.4%1947호가 연립주택이었다.

 

인천광역시에서 다세대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옹진군으로 옹진군 공동주택 중 69.8%785호가 다세대주택이었다. 연립주택 비율이 높은곳은 강화군으로 15.2%의 비율을 보였다.

 

소병훈 의원은 인구의 수도권 집중으로 전국 공동주택도 수도권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라며, “과밀화된 수도권은 교통, 주택, 환경문제 등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과 지방이 상생하는 종합 플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현숙 기자
작성 2020.10.07 09:55 수정 2020.10.07 09:57

RSS피드 기사제공처 : 인천데일리 / 등록기자: 장현숙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