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우리말 사전 원고‘말모이 원고’등 한글사전 2종 보물 지정 예고

‘조선말 큰사전 원고’와 함께 보물로 가치

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은 8일 열린 제5차 문화재위원회 동산문화재분과회의 결과에 따라 말모이 원고’(국가등록문화재 제523)조선말 큰사전 원고’(국가등록문화재 제524-1, 524-2) 24건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하기로 하였다.

 

문화재청은 독립운동사료를 포함한 근현대문화유산에 대한 적극적인 역사ㆍ학술적 가치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2019년부터 자문회의 등에서 국가등록문화재를 대상으로 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말모이 원고등 총 9건의 문화재가 지정조사 대상으로 선정되어 올해부터 조사를 실시해왔으며, 그 첫 결실로 이번에 우리말과 관련된 국가등록문화재 2종이 보물 지정 예고 대상으로 결정된 것이다.

 

두 건 다 일제강점기라는 혹독한 시련 아래 우리 말을 지켜낸 국민적 노력의 결실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대한민국 역사의 대표성과 상징성이 있는 문화재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국가등록문화재 제523말모이 원고는 학술단체인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 주관으로 한글학자 주시경(1876~1914)과 그의 제자 김두봉(1889~?), 이규영(1890~1920), 권덕규(1891~1950)가 집필에 참여해 만든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사전 말모이의 원고이다. ‘말모이는 말을 모아 만든 것이라는 의미로, 오늘날 사전을 의미를 하는 순우리말이다. 주시경과 제자들은 한글을 통해 민족의 얼을 살려 나라의 주권을 회복하려는 의도로 말모이편찬에 매진하였다.

 

말모이 원고집필은 1911년 처음 시작된 이래 주시경이 세상을 떠난 1914년까지 이루어졌으며, 본래 여러 책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지금은 부터 걀죽까지 올림말(표제어)이 수록된 1책만 전해지고 있다.

 

240자 원고지에 단정한 붓글씨체로 썼고 알기’, ’본문‘, ’찾기‘, ’자획찾기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알기는 범례에 해당하는 6개 사항을 표시하여 괄호 속에 품사를 제시하였으며, 뜻풀이는 한글 또는 국한문을 혼용해 서술하였다. ’찾기는 색인 본문의 올림말을 한글 자모순으로 배열하였고 자획 찾기는 본문에 수록된 한자의 획수에 따라 낱말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한자어와 외래어 앞에는 각각 ’+‘, ’ב를 붙여 구분하였다.

 

말모이 원고의 가장 큰 특징은 이러한 체제가 한 눈에 보일 수 있는 사전 출간을 위해 특별히 제작한 원고지 형태의 판식(板式)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마치 옛것과 새것이 혼합된 듯, 고서(古書)의 판심제(版心題)를 본 따 그 안에 말모이라는 서명을 새겼고, 원고지 아래 위에 걸쳐 해당 면에 수록된 첫 단어와 마지막 단어, 모음과 자음, 받침, 한문, 외래어 등의 표기 방식이 안내되어 있다.

 

1914년 주시경이 세상을 떠난 뒤 1916년 김두봉이 이 말모이 원고를 바탕으로 문법책인조선말본을 간행하기도 했으나, 김두봉이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감시를 피해 상해로 망명하고 이규영도 세상을 떠나면서 이 원고는 정식으로 출간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후 조선어학회의 조선말 큰사전편찬으로 이어져 우리말 사전 간행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결정적인 디딤돌이 되었다.


말모이 원고현존 근대 국어사 자료 중 유일하게 사전 출판을 위해 남은 최종 원고라는 점, 국어사전으로서 체계를 갖추고 있어 우리 민족의 독자적인 사전 편찬 역량을 보여주는 독보적인 자료라는 점, 단순한 사전 출판용 원고가 아니라 일제강점기 우리말과 글을 지키려 한 노력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역사적ㆍ학술적 의의가 매우 크다.


국가등록문화재 제524-1, 524-2조선말 큰사전 원고는 조선어학회(한글학회 전신)에서 1929~1942년에 이르는 13년 동안 작성한 사전 원고의 필사본 교정지 총 14책이다. ()한글학회(8), 독립기념관(5), 개인(1) 등 총 3개 소장처에 분산되어 있다. 특히, 개인 소장본은 1950년대 큰사전편찬원으로 참여한 고() 김민수 고려대 교수의 유족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말 큰사전 원고범례부분에 해당하는 미공개 자료로서, 이번 조사 과정에서 발굴해 함께 지정 예고하게 되었다.

 

문화재청은 이번 말모이 원고조선말 큰사전 원고의 보물 지정 예고를 시작으로, 역사학술적 중요성이 널리 인정된 국가등록문화재 등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재평가하여 이를 국보ㆍ보물 지정 대상에 포함시킴으로써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제도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한다.

      

서문강 기자

서문강 기자
작성 2020.10.09 08:51 수정 2020.10.09 10:0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러시아군 20%가 HIV 환자라고? 충격실태보고
일본해에서 중국러시아 합동훈련?!대체 무슨일?
트럼프 핵잠수함 배치명령! 미-러 긴장 최고조
베니스 난리 난 세기의 결혼식, 제프베조스와 로렌산체스 세기의 결혼식
목적이 서로 상충되는 교육제도 [알쓸신톡 EP.04]
탐구과목 통합? 현 고3의 의견 [알쓸신톡 EP.04]
산책길
우린 모두 하나
전통
전통
하늘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전통복장
전통의 힘
여군
[ECO IN - TV] 20250605 세계환경의 날 지구살리기+나무심..
[ECO IN - TV] 2024 환경공헌대상 초대 도션제 회장 #sho..
ai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빛나는 인생마실 #한연자 #ai한연자 #시니어크..
여름은 춤
2025년 8월 1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