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본 근현대사] 울릉도 아가씨

분단장 곱게 하고 호롱불을 밝히면서

천지엽 / 김성근 / 미미성자매

 

2020년 인류에 불청객이 찾아왔다. 코로나-19 바이러스다.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정치공학적인 기형적인 세상사도 무거운데, 보건의료 환경도 생경하다. 대응과 예방에 대한 시책과 물리적인 시스템도 답답하다. 하지만 코로나 청정지역이 있다. 희망의 울릉도가 그 곳이다. 그래서 울릉도를 모티브로 한 노래를 골랐다. 1968년 미미성자매가 부른 <울릉도 아가씨>.

 

울릉도는 35(三無五多)의 섬이다. 우리나라 4천여 개의 섬 중에서 9번째로 큰 섬. 3무는 도둑공해뱀이고, 5다는 향나무바람미인돌이다. 여기에 코라나 무발생지역까지 매김 되면 4무의 섬이 되리라. 제주도의 3(바람비바리) 3(도둑대문거지)와 대비된다. 1968년 이 섬의 낭자가 서울 총각에게 사랑의 바람(버림받는 비련)을 맞았다. 분단장을 곱게 하고, 호롱불을 밝히고 기다리지만 낭군은 소식이 없다. 이 서러운 정한을 천지엽이 노랫말로 짓고, 김성근이 곡을 얽어서 미미성자매의 목청에 싣는다. 아리랑레코드 음반 AL-12011, A면에 남미랑의 <동경에서 맺은 사랑>, <울어라 파랑새야>, B면에 남미랑의 <아주까리 선창>, <무정한 마도로스>, <울릉도 아가씨>가 실렸다.

 

석양 진 나루터에 보낸 님이 그리워서/ 백사장을 헤매 도는 울릉도에 저 아가씨/ 성인봉 달이 뜨니 못 참도록 괴로움에/ 섬 색시 속인 님이 야속하다고/ ~ 가슴 아픈 사연 속에 하염없이 울고만 있네// 분단장 곱게 하고 호롱불을 밝히면서/ 기다려도 안 온다고 옷고름에 눈물짓네/ 동백꽃 피어날 때 맺은 정이 안타까워/ 서울 간 님 소식 언제 오느냐/ ~ 흘러가는 물결 위에 흐느끼며 하소연 하네. (가사 전문)

 

울릉도는 북위 3730, 최고점은 성인봉(聖人峯, 984m)이고, 주민등록기준으로 인구는 약 1만 명이다. 포항항에서 뱃길로 270, 독도는 울릉도에서 87.4떨어져 있는 동생 섬이다. 육지에서 가장 가까운 곳은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으로 울릉도에서 130.3떨어져 있다. 울릉도는 육지에서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다.

 

삼국사기삼국유사에는 신라시대에 우산국이 있었는데, 512(지증왕13) 6월 하슬라주의 군주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벌했다. 1407(태종7) 3월 쓰시마 도주는 사신을 파견해 토산물을 헌납하고, 납치해 간 포로를 송환하면서 울릉도에 쓰시마 사람을 이주시키고 쓰시마 도주가 다스리게 해 줄 것을 청원했으나, 조선 태종은 이를 거절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강원도 삼척도호부 울진현에 속하며, 우산(于山)과 무릉(武陵) 두 섬이 울진 동쪽 바다 한 가운데에 있으며, 두 섬이 서로 거리가 멀지 않아, 맑은 날에는 바라볼 수 있고, 신라 때에 우산국(于山國), 또는 울릉도(鬱陵島)라 불렀다고 기록되었다.

 

<울릉도 아가씨> 노래 속의 아가씨가 헤매 도는 백사장은 도동항(道洞港)이다. 항구는 맞는데, 도동항에는 백사장이 없다. 작사가 천지엽의 기치(旗幟)이리라. 1953년 장세정이 부른 <샌프란시스코>에 나오는 가사, ‘비너스 동상을 얼싸 안고 소근 대는 두 그림자에서처럼, 샌프란시스코 항구에는 비너스 동상은 없다. 이 또한 손로원의 기치였다.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에 있는 이 항구는 울릉도의 유일한 여객선터미널 항구다. 섬처녀 가슴을 멍들게 하고 서울로 간 낭군이 떠나 간 항구이기도하다.

 

도동(道洞)이라는 지명은 도방청에서 유래했다. 1882(고종19)에 울릉도개척령을 반포하면서 주민이 입도하기 시작하여 이곳에 자치지휘소를 설치하고 도방청이라고 하였고, 그 후 도동을 도방청포구(道方廳浦口)라고 불렀다. 도동항 오른쪽에 서 있는 향나무는 수령이 약 2천여 년으로 추정한다. 도동항은 안벽 80m, 물양장 133m, 방사제 79m, 방파제 184.6m이다. 포항시와 동해시 묵호에서 쾌속선도 왕복한다. 도동항에서 87.4동남쪽에 독도가 있다. 울릉읍 독도리 1~96. 독섬이라고도 하며, 동도(東島)서도(西島) 및 주변 89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화산섬이다. 동도서도간 거리는 151m로 좁은 수도(水道)를 이룬다. 동도는 해발고도 98.6m, 서도는 해발고도 168.5m이다.

 

<울릉도 아가씨>와 같은 노래 제목은 1967년 하춘화가 먼저 물렀는데, 가사와 곡조는 다르다. ‘갈매기 날개아래 황혼이 오고/ 저무는 해안선에 뱃고동이 슬피 울면/ 떠나가고 없는 서울 도련님에/ 알뜰한 그 사랑이 한없이 그리워서 긴 한숨짓는/ 울릉도 아가씨// 수평선 파도멀리 저녁별 뜨고/ 고요한 달빛아래 쌍고동이 슬피 울면/ 소식 한 장 없는 서울도련님에/ 야속한 그 언약이 한없이 원망스러 긴 한숨짓는/ 울릉도 아가씨.’

 

울릉도를 생각하면 독도를 보듬는 생각이 아물린다. 이참에 독도에 국제해양박물관과 거대한 다용도건물을 세우기를 주창(主唱)해본다. 이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유일한 걸물(傑物). 세계 최고의 설계사가 디자인·설계하고, 최고의 건축가가 건축할 인류의 유물. 사랑하는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영구적인 소유이면서 세계 인류가 무지개 빛깔의 미래 해양을 향하여 진화시켜갈 근거지가 될 걸작. 유행가 <울릉도 아가씨>를 반추하면서,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매달아 본다.


[유차영]

문화예술교육사

트로트스토리연구원장

 

전명희 기자

전명희 기자
작성 2020.11.23 09:33 수정 2020.11.24 15:4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산책길
우린 모두 하나
전통
전통
하늘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전통복장
전통의 힘
여군
[ECO IN - TV] 20250605 세계환경의 날 지구살리기+나무심..
[ECO IN - TV] 2024 환경공헌대상 초대 도션제 회장 #sho..
ai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빛나는 인생마실 #한연자 #ai한연자 #시니어크..
여름은 춤
2025년 8월 1일
전통의상
2025년 8월 1일
군인제기차기
홍천강 맥주축제
암환자의 체중관리. 유활도/유활의학
사슴벌레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