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읽고 싶은 책] 섬에 있는 암자를 찾아서

이봉수 지음 / 자연과인문 출판


섬기행 칼럼니스트이며 이순신 연구가인 이봉수 작가의 ‘섬에 있는 암자를 찾아서’라는 구도 수필집은 꾸준히 읽히는 책이다. 그는 타고난 방랑자다. 일상을 잠시 접고 주말이면 걸망 하나 메고 섬으로 떠난다. 섬은 그가 기댈 수 있는 마지막 언덕이라고 한다. 그에게 섬은 고립이 아니고 큰 자유다. 그는 가끔 아무도 없는 원시의 섬으로 들어가 혼자 지내는 연습을 한다. 그래서 찾아다닌 곳이 '섬에 있는 암자'라고 한다.

그는 서해의 최북단 백령도에 있는 연화정사로부터 국토의 최남단 마라도 기원정사, 동해의 외로운 섬 울릉도에 있는 성불사에 이르기까지 섬에 있는 절집들을 두루 섭렵했다. 연화도 보덕암에서는 고기잡이배들의 불빛이 너무 아름다워 절벽에 매달린 암자에서 뜬눈으로 밤을 새웠다. 가장 아름다웠던 추억을 갖고 있는 섬은 싱그러운 계절 6월에 찾아간 청산도라고 한다. 계절이 지나가는 길목에서 찾아간 욕지도의 고구마 빼떼기 이야기도 재미있다. 거금도 송광암에서는 밤을 새우며 인생과 우주를 이야기했던 추억도 적고 있다.

계절에 따라 변하는 아름다운 섬의 풍광도 좋지만 그곳에 사는 순박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더욱 심금을 울린다. 한여름 날 창선도 운대암으로 가는 길에 홍가시나무를 기르는 농부를 만나 ‘농업지식인이 되세요’라고 한마디 했더니 그 농부는 손을 잡고 놓아주지 않았다고 한다. 하나의 티끌 속에도 우주가 들어있지만 따뜻한 말 한마디에도 우주와 같은 큰 감동이 있다고 한다.

섬 여행은 그 특성상 철저히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며 날이 저물면 잠자리가 문제다. 작은 섬에는 숙박시설이 없는 곳이 많기 때문이다. 아무 집에나 들어가 하룻밤 재워달라고 부탁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필자는 자연스럽게 섬에 있는 암자를 찾았다고 한다. 전남 완도군에 있는 생일도 학서암에서 긴 여정을 마무리하면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그림자를 벗 삼아 철저히 홀로 다녔던 여정은 어쩌면 구도의 길이었다. 오늘도 그 섬에 가고 싶다......”

섬에 있는 암자를 찾아서/이봉수/자연과인문/신국판 192쪽/10,000원



이정민 기자
작성 2021.02.16 11:57 수정 2021.02.16 12:02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정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