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 칼럼] 가라앉지 않으려면 헤엄쳐라 Sink or Swim (2): 사슴 노래 Deer Song

이태상

 

나는 대전 공설시장에 나가 양키 물건을 내다 팔기 시작했다. 시장 바닥에 큰 멍석과 돗자리를 펴놓고 백여 가지가 넘는 물건들을 진열한 다음 하나하나 큰 소리로 외쳐가면서 신나게 팔았다.

 

하루는 물건을 사러 미군 제1군단이 주둔해 있던 동네로 가보니 그날 부대가 이동준비를 하고 있었다. 짐을 실은 차량들과 군인 들이 탄 차들이 쭉 줄지어 서 있었다. 나는 맨 앞에 있는 지프 차로 다가가 그 지프 차에 타고 있는 미군 장교에게 말을 걸었다. 중학교에 들어가 처음으로 배운 짧은 영어 단어를 외워보았다.

 

아이 유우어 하우스보이 오케이?”

 

그러자 키다리 양키 아저씨는 내 두 눈을 한참 꼼꼼히 들여다보더니 차에서 내리면서 자기 지프 차 뒷좌석으로 올라타라는 시늉을 했다. 다급하게 나는 서투른 영어지만 단어 몇 개를 더 주워섬겼다.

 

웨이트 어 모우먼트. 아이 마스트 고 앤드 스피크 투 마더.”

 

그랬더니 큰 두 손으로 나를 번쩍 들어 자기가 앉았던 앞자리에 앉히고는 운전병한테 뭐라고 말하자 운전병은 큰소리로 외쳤다.

 

예써!”

 

운전병은 거수경례를 부친 후 차를 몰았다.

 

웨어 웨어 유어 마더?”

 

운전하면서 운전병은 영어로 물었다. 나는 손가락으로 방향을 가리켜 어머니가 노점을 하고 있는 시장으로 가서 어머니께 말씀드린 후 그날부터 나는 미군부대를 따라 다니기 시작했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나는 미군 장교들과 사병들의 구두도 열심히 닦고 여러 가지 일들을 부지런히 하다 보니 귀여움을 많이 받기 시작했다. 미군 장사병들이 시도 때도 없이 주는 초콜릿이며 껌, 과자 등 별의별 것들을 나는 하나도 먹지 않고 다 모았다가 어머니께 갖다 드렸다.

 

3.8선 이북으로 넘어갔던 부대가 중공군의 인해전술人海戰術에 밀려 후퇴를 거듭하며, 동두천을 거쳐 서울로 이동했다. 미군 부대가 성동중학교 자리에 주둔하게 되자 나는 아침 일찍 일어나 할 일을 다 해놓고 학교에 다녔다. 서울에 임시로 세워진 동부 훈육소라는 중학교였다. 그러다 부대가 다시 영등포로 이동해 나는 영등포종합중학교를 다녔다.

 

나를 자기의 하우스보이로 삼은 이 부대 사령관 키다리 양키 아저씨의 계급은 대령이었다. 그는 고전 서양 음악을 즐겨 들었다. 사령관의 취향을 따라 나도 클래식에 빠져들었다. 그러자 사령관은 나에게 입버릇처럼 말했다.

 

네가 음악을 공부하겠다면 뉴욕의 줄리아드음대에 꼭 보내 주마.”

 

얼마 후, 제 친자식처럼 나를 사랑해주던 사령관이 한국에서의 근무기한을 마치고 미국으로 귀국하게 되었다는 소문이 퍼졌다. 믿을 수 없었으나 가슴이 허전해지면서 뭔지 모를 불안에 휩싸여 기운을 차릴 수가 없었다. 일찍이 느껴보지 못한 격한 감정도 일어나곤 했다.

 

어느 날, 사령관이 나를 찾았다. 나는 결코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겠다고 나 자신에게 다짐하며 사령관과 마주 앉았다.

 

난 미국으로 돌아간단다. 한 가지 제안이 있는데 네가 받아들일 수 있겠니?”

제안이 뭔데요??

난 너를 내 친아들처럼 생각한단다. 나와 함께 미국으로 네가 가겠다면 난 너를 내 양자로 입양을 해 공부를 시켜주겠다. 네 생각은 어떠냐?”

그렇게 생각해주시니 고맙습니다. 그렇지만 어머니께 물어봐야 해요.”

어머니가 지금 어디 계시지?”

대전에 계세요.”

그럼 대전에 갔다 오거라.”

고맙습니다.”

 

다음날, 나는 대전으로 향했다. 어머니는 언제나 기쁘게 날 반겨 주셨다. 그러나 나는 어머니의 얼굴을 보자 맥이 탁 풀렸다. 차마 미국에 가게 되었다는 말이 입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뜬눈으로 밤을 새우고 나는 부대로 돌아왔다.

 

죄송합니다. 제가 미국에 가는 걸 어머니가 반대하셔요.”

 

나는 사령관에게 거짓말을 내뱉고 나자 가슴이 뭉클했다. 억제하기 힘든 감정이 가슴 속에서부터 턱 밑까지 치밀어 올라왔다. 사령관은 한동안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무거운 침묵이 흘렀다. 그러다 사령관이 벌떡 일어나 전화기 앞으로 다가갔다. 그리고는 한참 동안 누군가와 통화를 했다. 통화를 끝낸 사령관은 나에게 다가와 내 이마에 입맞춤을 했다.

 

그래, 알았다. 한국에서 잘 지내라.”

 

사령관이 떠나는 날 아침이었다. 어떤 다른 부대 미군 운전병이 지프를 몰고 나를 데리러 왔다. 사령관은 내 좁은 어깨를 양손으로 움켜잡은 채 말했다.

 

잘 아는 친구에게 널 부탁했다.”

 

사령관은 눈물을 글썽거렸다. 그러나 나는 울지 않았다.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겠다고 다짐하고 또 다짐했던 것이었다. 나는 지프 차를 타고 사령관에게서 멀어져 갔다. 뒤돌아보니 사령관이 손을 흔들고 있었다. 나는 울지 않았다. 다시 뒤를 돌아보았다. 사령관은 보이지 않았다. 그제서야 나는 엉엉 소리 내 울기 시작했다.

 

내가 지프 차를 타고 따라간 곳은 뜻밖에도 대전이었다. 나를 맡아주기로 한 사람은 CAC (유엔의 한국원조기구) 사령관으로 그도 미육군 대령이었다. 사령관만 미군 현역 장교이고 나머지 임원들은 한국전에 참전한 유엔 여러 나라 대표 민간인들이었다.

 

이들의 숙소가 서대전에 있었다. 사령관 숙소에는 이미 하우스 보이라고 부르기에는 너무 어른 같은 사람이 있었고, 그 며칠 전에 부사령관 숙소에 있던 하우스보이가 도둑질을 하고 떠나버려 내가 이 부사령관 숙소에 있게 되었다.

 

또 이 부사령관의 배려로 나는 대전의 피난종합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 부사령관은 제2차 세계대전뿐만 아니라 제1차대전에도 참전했던 영국군 퇴역 대령으로 다리에는 일본군의 총검에 찔린 흉터가 남아 있고 몸속에는 빼내지 못한 총알이 박혀있다고 했다. 퇴역 후 뉴질랜드 주지사도 지낸 그도 나를 무척 사랑하고 귀여워해 주었다. 미군장교클럽에 나를 데리고 가 테이블 위에 세워놓고 영어로 연설을 시키기도 했다.

 

꼬마야, 내가 영국으로 돌아갈 때 나와 함께 가자. 네가 원하면 너를 옥스퍼드대학에 보내 줄 수 있어.”

부사령관도 입버릇처럼 그렇게 말했다. 미군부대 하우스보이로 일하면서 피난종합학교를 다닐 때 나는 거기서 다른 한 하우스보이 친구를 만났다. 나는 평소 말을 잘못하고 더듬거리는데 그는 청산유수靑山流水로 박식하게 말을 잘했다. 어떻게 그토록 말을 잘할 수 있느냐고 물으니 친구가 대답했다.

 

너도 교회를 다녀 봐.”

교회?”

그래. 기독교인 치고 말 못하는 사람이 없어. 특히 부흥 목사님들이 말씀을 아주 잘하시거든. 나랑 함께 가볼래?”

 

좀 망설였으나 나는 친구를 따라 부흥회에 갔다. 부흥회에 대한 인상은 기대 이상이었다. 한창 감수성이 예민한 나이여서였는지 아니면 아주 어려서부터 무슨 일에나 지나치게 열중하는 성격과 습성 때문이었는지, 나는 광신적狂信的으로 예수를 믿기 시작했다.

 

부흥 목사님들 말씀이 우리 육신이 살기 위해서는 숨을 쉬고 밥을 먹고 운동을 해야 하듯이 우리 영혼이 살기 위해서는 숨 쉬듯 기도하고 밥 먹듯 성경을 보고 운동하듯 복음福音을 전파傳播하라는 것이었다.

 

 

나는 이 말씀을 문자 그대로 실천하기 시작했다. 거의 매일 밤마다 부흥회를 찾아다니며 철야기도다 금식기도다 해가면서 학교 친구들은 물론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전차나 버스 그리고 길거리에서까지 전도지를 나눠주며 전도傳導하기 바빴다. 학교에 가서도 점심시간이면 학교 뒷산에 올라 기도하고 성경책을 보며 찬송가를 부르느라 정신없었다. 그러다 보니 나는 사춘기도 잘 모르고 지낸 것 같다.

 

그러던 어는 날, 부사령관이 쓰러졌다. 부사령관은 술과 담배를 많이 해서인지 귀국 날짜를 육 개월 앞두고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나는 울지 않았다. 어느덧 부성父性에 대한 감성은 무뎌지고 있었다. 나는 서울로 올라와 경복고등학교에 복교했다.

 

시간은 흘러 나는 청년이 되었다. 어려서부터 지어 주문呪文 외듯 조잘대온 나의 사슴 노래를 부르면서

 

 

우리 삶은 꿈이어라

꿈이어라 꿈이어라

우리 삶은 꿈이어라

꿈속에서 꿈꾸는

우리 삶은 꿈이어라

 

우리 삶이 꿈이라면

우리 서로 사랑하는

가슴에 수놓는

사슴의 꿈이어라

 

우리 삶은 꿈이기에

꿈인 대로 좋으리라

우리 삶 꿈 아니라면

그 어찌 사나운 짐승한테

갈가리 찢기우는 사슴의

슬픔과 아픔을 참아

견딜 수 있을까

 

숨이어라 숨이어라

우리 삶은 숨이어라

숨 속에서 숨 쉬는

우리 삶은 숨이어라

 

우리 삶이 숨이라면

우리 모두 하늘 우러러

숨 쉬는 사슴의 숨이어라

 

우리 삶은 숨이기에

숨인대로 좋으리라

우리 삶 숨 아니라면

그 어찌 사나운 비바람

천둥번개 무릅쓰고 뛰노는

사슴의 기쁨과 즐거움을

마냥 맛볼 수 있을까

 

우리 서로 사랑하는

가슴이 준 말

사슴이 되어라.

 

Deer Song

 

I set up a small business in earnest in a flea market of the City of Daejon, displaying over 100 black market items sold by American GIs trafficking in U.S. Army PX goods.

 

One day, I went to the area where the U.S. I Corps was stationed in order to replenish my stock of Yankee goods. When I got there, military equipment and personnel were being loaded onto trucks. The whole unit of troops was moving.

 

I approached the officer sitting in a jeep at the front of a long line of vehicles. Since my English was limited, I was barely able to utter just a few words I started learning for the first time when I went to the middle school as a seventh grader.

 

“I your houseboy. Okay?”

 

The officer looked at me intently and then motioned me to hop onto the back seat of his jeep.

 

I hastened to say breathlessly.

 

“Wait a moment. I must go and speak to Mother.”

 

Smiling, the officer, with his big hands, lifted me up and sat me down in his front seat, saying something to his driver.

 

“Yes, sir.”

“Where’s your mother?”

I directed the driver, pointing towards the market. I told my mother that I was going away with the American troops.

 

From then on, I was a diligent worker, shining shoes, making beds and running errands for officers and the rank and file. Though I was a child, I did not have to be told what to do. Officers and enlisted men showered me with chewing gum, candies, cookies and chocolate. I took them all to my mother whenever I visited her.

 

U.S. Army I Corps moved north beyond the 38th Parallel and then retreated back south to Seoul. The commanding officer who took me as his houseboy was a colonel who loved the classical music. Soon, I became a little classical music buff, too.

 

“If you like to study music, I’ll send you to the Juilliard School in New York,” the officer promised. The commanding officer’s tour of Korea would soon be over and he’d be returning to America. One evening the officer wanted to have a word with me.

 

“I’ll be returning home soon,” he told me. “You know I’ve been treating you like my own son. If you decide to come with me to America, I’ll adopt you and send you to an American school. What do you think about that?”

 

“Thank you, sir. But I have to ask my mother.”

“Where is she now?”

“She’s still in Daejon City.”

“All right, then, go talk to your mom.”

 

The next day, I went to see her. As always, my mother was very happy to see me. I could not sleep and was not able to tell her that an American officer wanted to take me to America and adopt me.

 

On my return, I said, “I’m sorry. Mother doesn’t want me to go to America.”

 

The officer dialed up the phone and talked to someone. After he hung up, he kissed me on my forehead and said, “I understand. Stay well in Korea.”

 

On the morning of the day the officer was leaving for America, an American GI driver came to pick me up and take me somewhere. The officer put his hands on my shoulder and said: “I’ve asked a good friend of mine to take good care of you. Goodbye, my boy.”

 

The officer was in tears, but I did not cry. I did not want to show a sign of weakness.

 

Driven away on a jeep, I looked back. The officer was waving to me. When I looked back again, then the officer had disappeared from sight. Then, and only then, did I burst into tears.

 

Much to my surprise, I was taken to Daejon City. The commanding officer’s friend was also a colonel in charge of the CAC, a United Nations organization for the re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 of war-torn South Korea. Except for the colonel, all the other staff members were civilians representing the United Nations member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Korean War. Their living quarters were located in the western suburb of the city The colonel had a houseboy, but it just so happened that the houseboy of the deputy head of the organization stole something and ran away a couple of days before, so I was assigned to the deputy as a replacement.

 

Thanks to the deputy’s kindness and considerations, I could attend another refugee-school in Daejon City while working as a houseboy.

 

The deputy was a retired British colonel and a veteran of both World War I and II. He had a Japanese bayonet scar on his leg and a bullet in his body. After he was discharged from the British Army following his injury, he served as the governor of a province of New Zealand. The deputy also loved me dearly. He enjoyed having me giving a speech standing on a table in the American military officer’s club.

 

He would say to me, “When I return to England, you come with me. I’ll send you to Oxford University, if you want.”

 

While I was working as a houseboy, I met another houseboy who was well informed and a gifted speaker. I couldn’t conceal my envy of my friend. I asked for my friend’s advice.

 

Surprisingly, his advice was not what I had expected.

 

“I have a good idea for you. Why don’t you go to church”

“Church?”

“Yeah. All the church-goers are good at speaking, especially the revivalist preachers.”

 

I hesitated before following my friend to a revival service.

 

Whether due to my acute sensibilities at that early age or my impulsive temperament and tendency to fall head over heels in love with anybody and anything, I became a fanatical believer in Jesus the moment I entered a church.

 

The revivalist speakers emphasized that for one’s body to live, one has to breathe, eat, and exercise; for one’s soul to be alive, one has to pray, live on the words of the Bible, and evangelize. So I strove to practice, literally, what was being preached. Almost every night I went to a revival service. I would pray all night long, fast, hand out leaflets of gospel on the streets and in school, totally absorbed in praying, bible reading, and hymn singing. In so doing, I missed out all the fun and frivolous pleasures of adolescence.

 

As it happened, one day, the retired British colonel collapsed, probably because of his chain-smoking and heavy drinking. He died of cancer six months before his scheduled return to England. I didn’t cry, but once more I felt I had been abandoned.

 

All the fleeting moments became the sweeter and more poignant as time passed, and I became a young man, musing about life, reciting a mantra I made up in my childhood.

 

If a dewdrop is evanescent,

So is life.

Must it be as evanescent

As the bloom of flowers and

The fragrance they exhale!

 

Must it be a dream,

Must it be a dream,

Life must be a dream.

Must it be dreaming in a dream.

 

If life is a dream,

Let it be a dream of

Engraving our loving hearts.

 

Let life be a dream.

If it’s not a dream,

How could one bear

The pains and sorrow of

Deer being torn by beasts?

 

Must it be a breath,

Must it be a breath,

Life must be a breath,

Must it be breathing in a breath.

 

If life is a breath,

Let it be a breath of

Deer breathing in the sky.

 

Let life be a breath.

If it’s not a breath

How could one have

All the fun and pleasures of

Deer frolicking,

Braving lightning and thunder?

 

Let us be deer/dear

The symbol of

Our loving hearts.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

1230ts@gmail.com


전명희 기자
작성 2021.04.27 10:59 수정 2021.04.27 12:2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