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09개 (171 페이지)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갈대에게서 배운다
브로니 웨어Bronnie Ware 의『내가 원하는 삶을 살았더라면』에는 의미심장한 내용이 담겨있다. 그녀는 간병간호사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임종을 앞둔 환자들에게 “가장 후회되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설문을 했다. 주목할 점은 환자 중 누...
[항간세설] 인생보고서
지난 2008년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의 컴퓨터과학 교수 랜디 파우쉬(Randy Pausch 1960-2008)는 췌장암으로 47세에 타계하기 10개월 전 행한 그의 마지막 강의(The Last Lecture)에서 뭣보다 동심(童心)의 경이로움을 강조했다. ...
[신연강의 인문으로 바라보는 세상] 아름다운 지혜
아름다운 지혜 단풍이 아름다운 것은자신의 색을 지녔으나, 함께 가을을 물들일 줄 알기 때문이다.한 계절을 기억하여낮은 곳으로 향하는떠날 때를 아는 자의 지혜.비우고 떠남으로써다음 삶을 보듬을 수 있는, 단풍이 아름다운 것은그 마음, 몸...
[항간세설] 만고상청(萬古常靑)하리라
연암 박지원(1737-1805)은 그의 ‘열하일기’에서 깊은 밤 강 건너며 삶과 죽음의 이분법을 초월하는 경험을 적었다. 이를 고전평론가 고미숙 박사(고려대)의 표현을 빌리자면 아래와 같다. “열하로 들어서기 직전,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
[김건휘 기자 칼럼] 선생님, 학교가 즐거워요
기자 주 - 현재 과도한 입시 위주 교육문제가 대두되면서, ‘대안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기존 교육 시스템 대신 대안교육을 선택하는 청소년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기존 교육에서 부족했던 ‘배려와 협력’을 강조하는 대안교육의 이념이 큰 ...
[김건휘 기자 칼럼] 선생님, 학교가 즐거워요
기자 주 - 현재 과도한 입시 위주 교육문제가 대두되면서, ‘대안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기존 교육 시스템 대신 대안교육을 선택하는 청소년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기존 교육에서 부족했던 ‘배려와 협력’을 강조하는 대안교육의 이념이 큰 ...
[항간세설] 코스미안 시대를 열자
지난 2016년 노벨문학상 이상의 문학적 가치가 있다는 영국의 맨부커 국제상을 '채식주의자'의 작가 한강과 영문 번역자 데보라 스미스에게 수여하면서 심사위원회는 또 한 사람의 수상자로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을 거명했다는 기사를 보고 나는 반론을 제기했었다. ...
[양동규 기자의 눈] 문화가 되어버린 조롱, 그 씁쓸함
돼지불백과 후전드, 이는 스페인 라리가의 바르셀로나 유소년팀 출신의 국가대표 축구선수 이승우를 조롱하는 별명이다. 돼지불백은 10년 후에 축구선수가 아닌 기사식당에서 돼지불백을 나르고 있을 것이라는 의미, 후전드는 후베닐(바르셀로나의 유소년팀)과 레전드를 ...
[김건휘 기자 칼럼] 선생님, 학교가 즐거워요
누구나 초등학교에 입학해 1학년 때, 받아쓰기를 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받아쓰기는 초등학교 첫 시험(?)이라 손색이 없을 정도로 수시로 이루어진다. 집에서 엄마아빠와 함께 연습을 해 보아도 막상 선생님이 받아쓰기 문제를 내면 아리송했던 기억이 누구나 한...
아파트 베란다 확장비 터무니없다
최근 대부분의 건설회사 모델하우스는 베란다를 확장형으로 만들어 놓은 채 손님을 맞고 있다. 확장하지 않는 세대가 입주하게 될 거실 창과 벽은 보이지도 않고 그냥 바닥에 점선 또는 실선으로만 표시해 놓은 것이 전부다. 건설회사의 이런 속내는 일단 소비자에게 넓...
[김건휘 기자 칼럼] 선생님, 학교가 즐거워요
일반적으로 교장 선생님이 주는 이미지를 한 번 떠올려보자, 혹시 조회 시간에 ‘일장연설(?)’을 하는 이미지가 떠올려지지는 않는가? 이렇게 전교생들을 위해 조회시간을 활용해 훈화를 하는 것은 교장선생님의 일반적인 이미지다. 교장의 교육학적 뜻...
[항간세설] 천도(天道), 코스미안의 길
2012년 12월 유네스코의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아리랑’이 등재됐다. 생각해보면 아리랑과 홍익인간은 K-POP과 인도주의의 원조가 아닌가. 우리나라 고유의 종교 천도교의 성서라고 하는 동경대전(東經大全)에 이런 구절이 있는데 삶과 사랑의 붓글씨를 쓰는 우리 ...
[항간세설] 행복지수와 마당놀이
얼마 전 세계에서 가장 행복감을 느끼는 국민은 파나마, 파라과이 등 중남미 국민이란 조사 결과가 보도되었다. 한국은 하위권인 97위, 미국과 중국은 공동 33위, 일본은 59위였으며 최하위는 싱가포르로 나타났다. 이는 여론조사기관 갤럽이 148개국에서 1...
[김건휘 기자 칼럼] 선생님, 학교가 즐거워요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다. 그 동안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좋은 결실을 맺어야 하는 수험생들과 수험생들을 위해 그 동안 관심과 사랑을 전한 부모들에게도 이 시간이 불안하고 초조할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항간세설] 유쾌한 행복론
행복한 사람들은 낙천적이며 지난일 중에서 좋은 것만 기억하는 등 긍정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는 말은 ‘폴리애너’(1913년에 나온 미국 작가 Eleanor H. Porter1868-1920의 소설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의 이름에서 딴 명랑하고 유쾌한 낙천주의자)’...
[이선우의 미주알 고주알] AI 정치
최근 TV, 인터넷 매체의 뉴스를 장식하던 조국 전 법무부 장관 검찰조사 관련 소식들이 장관직 사퇴에도 불구하고 국정감사 기간과 맞물리며 지속되고 있다. 80년대 5공화국 시절의 "땡전뉴스"로 비교하자면 "땡조뉴스"정도로 불릴법 한 것 같다.이 나라의 정치...
[항간세설] 언감생심(焉敢生心)이어라
‘도(道)라고 할 수 있는 도는 도가 아니다.’ 2천 5백여 년 전에 살았던 노자가 남긴‘도덕경’을 한 마디로 이렇게 풀이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진리라고 말하는 진리는 진리가 아니다.’ 이것은 ‘데리다의 해체철학’이란 연구서를 펴낸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김...
[항간세설] 우린 모두 ‘어린공주’ ‘어린왕자’
생리에 맞지 않는다고, 방관적 관객 같은 뉴스 리포터보다는 뉴스 메이커로서 삶의 주인공 배우가 되어보겠다고 짧게 해본 신문기자생활을 그만두었다. 그리고 ‘해심(海心)’이란 나의 자작 아호(雅號)를 대폿집 옥호로 삼아 처음에는 한국일보사 뒤 기마경찰대가 있던 ...
[강드림의 싫존주의] 왜 한국인들은 악플 같은 걸 달고 앉아 있나
한 유명 여자 아이돌 출신의 배우가 안타까운 선택을 했다. 생전의 그녀는 몇 가지 논란에 서 있었다. 그녀는 이따금씩 자신의 SNS에 속옷을 착용하지 않고 겉옷만 입은 사진을 올리곤 했는데, 그 모습을 본 일부 네티즌들은 길길이 날뛰었다. 여느 연예인처럼 성매매를 알선...
[김희봉의 삶의 향기] 역행의 시대
로마는 아직도 한 여름처럼 뜨거웠다. 온통 셀폰 사진을 찍는 사람들로 뒤엉킨 트레비 분수를 벗어나 스페인 광장으로 향했다. 옛 영화, “로마의 휴일”에서 오드리 헵번이 젤라토 아이스크림을 맛있게 먹던 그 대리석 계단을 추억하며 걸었다.  ...
Opinion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3분 신화극장] 혼돈에서 질서를 만든 신, ‘이자나기’&nb...
햇빛에 내어 말린 고급 속내의만큼 사랑도 우정도 바래더라 &nb...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산양의 모근에서 채취한 체세포를 초기...
‘2025-2026 강원 방문의 해’를 맞아 영서 내륙 5개 시...
우리나라는 기록적인 더위로 연일 난리지만 지구 반대쪽 노르웨이는 시원한 가을 날씨다.&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