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까시나무 꽃 피면 산불 끝난다는 말은 옛말, 5월도 산불 조심

국립산림과학원, 우리나라 산불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기상인자 구명

사진=코스미안뉴스


우리나라 산불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기상인자를 밝혀내고 올해 5월 산불 발생 위험도를 예측한 결과, 평년보다 산불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립산림과학원이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전남대학교 정지훈 교수팀과 광주과학기술원 윤진호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지난 40년간(19812020) 봄철 산불 위험지수 시계열 변화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기상인자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5월 산불 발생은 엘니뇨·라니냐의 영향을 받은 서태평양 지역 대류 활동과 그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 기후 특성과의 연관성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5월 산불 발생위험과 상관성이 높은 기후인자는 3, 4월의 서태평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 동서 바람, 상대습도이며, 이러한 인자들을 분석한 결과 평년보다 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지난 3월 동아시아 지역은 평년보다 다소 습윤한 상태였으나, 4월 중순 이후 라니냐가 소멸되는 과정에서 건조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더불어 서태평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며, 동아시아 지역의 기온도 평년보다 높아졌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우리나라 주변으로는 강한 동서 바람이 불고 습도가 낮게 나타났다.

 

최근 5월에도 산불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아카시아 꽃이 피면 산불이 나지 않는다라는 속설이 무색해지고 있다. 산림청 산불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1년 중 5월에 발생한 산불 비율이 1990년대 6%에서 2000년대 7%, 2010년대에는 10%로 높아졌다. 특히, 2019년은 전체 산불 중 15%5월에 발생하였다. 또한, 34월에만 발생했던 100ha 이상의 대형산불이 20172, 20201건이 발생하는 등 5월에도 대형산불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불, 산사태연구과 권춘근 박사는 기후·기상 자료의 과학적 분석을 통한 산불 발생위험 예측으로 보다 먼 기간의 산불 위험 예보와 위험변화의 선제적 대응체계 마련으로 산불 관리능력을 향상시키겠다.”라고 전했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05.06 10:09 수정 2021.05.06 10:37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일본군 #위안소
#일제강제노동
#친일파 #친일반민특위하자
#박정희 #독도밀약 #전두환증거인멸 #독도지키미#고문 #이승만박정희 ..
#제암리 #고주리사건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