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연재] 역사자료로 보는 난중일기

1592년 4월 15일(음력)

이순신 씀 / 윤헌식 주해

사진=코스미안뉴스


1592년 4월

15(갑진) 맑았다. 나라의 제삿날1)이라 업무를 보지 않았다. 순찰사 [이광]에게 [보낼] 답장과 별록을 써서 곧바로 역자2)로 하여금 급히 보냈다. 해 질 무렵에 온 영남우수사3)의 전통4) 중에 왜선 90여 척이 나와서 부산 앞 절영도에 정박했다고 하였다. 또한 이와 동시에 수사5)의 공문도 왔는데 왜적 350여 척이 이미 부산포 건너편에 도착했다.”고 하였기에 곧바로 계문을 쓰고 아울러 순찰사 [이광], [전라]병사 [최원], [전라]우수사 [이억기]에게 공문을 보냈다. 영남방백 [김수]의 공문도 왔는데 이와 같았다.

[]

1) 성종 비 공혜왕후(恭惠王后)의 제삿날이다.

2) 역자(驛子)는 역에서 말의 관리, 문서 운송 등의 신역(身役)을 담당하였다. 경국대전병전-역마(驛馬)에 의하면 긴급한 군사정보의 전달 등에는 역마가 이용되었다.

3) 당시의 경상우수사는 원균(元均)이다. 그의 자는 평중(平仲), 본관은 원주(原州), 생몰년은 1540~1597년이다.

4) 원문 傳通전달하다’, ‘전달문서등의 의미를 가지며, 공문, 봉화, 구두(口頭) 등의 제반 수단에 의한 의사 전달을 가리킨다.

5) 경상좌수사 박홍(朴泓)으로 서술한 경우가 많지만 임진장초인왜경대변장(因倭警待變狀)(1592415)에서 경상우수사 원균임을 확인할 수 있다. 임진장초와 이날 일기의 기록은 전반적으로 일치하지만, 임진장초에는 왜선의 척 수가 350여 척이 아닌 150여 척으로 기록되어 있다.

[원문] 十五日甲辰 晴 以國忌不坐 修廵使答簡及別錄 即令驛子馳送 日沒時 嶺南右水使傳通內 倭船九十餘出來 釜山前絶影島駐泊 一時又到水使關 倭賊三百五十餘隻 已到釜山浦越邊云 故即刻馳啓 兼移廵使兵使右水使䖏. 嶺南方伯關 亦到如是


전명희 기자
작성 2021.05.26 11:27 수정 2021.05.26 11:3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