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난당한 울산 보덕사 ‘석조관음보살반가상’ 다시 보덕사로

문화재청·울산경찰청 공조 수사로 도난 15일만에 회수

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은 울산경찰청과 공조 수사하여 지난해 12월 울산시 울주군 소재 보덕사 관음전에서 도난당했던 ‘석조관음보살반가상’ 1점을 온전하게 회수해 이달 중 다시 보덕사로 돌려주기로 했다.


이번에 회수한  ‘석조관음보살반가상’은 보덕사 관음전에서 있던 것으로, 피의자 A씨는 2020년 12월 24일 야간에 몰래 해당 장소에 침입하여 불전함과 석조관음보살반가상을 자신의 차량으로 훔쳐내 창고에 보관 은닉했으며, 문화재청은 울산경찰청과 공조해  탐문과 폐쇄회로 티비(CCTV)를 통해 신속하게 검거해 15일 만에 회수한 바 있다. 조사 결과, A씨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개인사찰에 해당 불상을 모시기 위하여 절취했다고 진술하였다.


보덕사의 ‘석조관음보살반가상’은 높이 약 57cm의 중소형으로 바위에 앉아 오른쪽 다리를 왼쪽 무릎 위에 올려놓은 반가좌의 자세를 한 관음보살을 표현한 비지정문화재로, 경상북도 경주 일대에서 나오는 경주석이라고 부르는 불석(佛石, Zeolite)으로 조성된 불상이다. 수인(手印, 불보살을 상징하는 손모양)은 양손을 편 상태로 손가락을 붙여서 무릎과 바위에 가지런히 놓았는데 이 점은 불석의 석재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보덕사 보살상은 사각형(방형)의 얼굴, 가늘고 긴 눈, 미소 띤 작은 입술, 옷 입은 방법과 수인의 형태 등에서 조선 후기 17~18세기의 보살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반가좌의 자세와 수인의 모습은 조선 후기로 볼 수 있으며, 불석이라는 재료와 암반 위에 반가좌 자세를 한 석조관음보살상이라는 도상 측면에서도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경찰청과의 공조수사를 더욱 공고히 하여 도난ㆍ도굴과 해외밀반출 등 문화재 사범을 단속하고 문화재 불법유통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06.17 11:50 수정 2021.06.17 12:4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일본군 #위안소
#일제강제노동
#친일파 #친일반민특위하자
#박정희 #독도밀약 #전두환증거인멸 #독도지키미#고문 #이승만박정희 ..
#제암리 #고주리사건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