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무형유산 전승주역의 희망찬 무대‘2021 이수자뎐(傳)’

7~10월 매주 토요일 오후 4시 공연

사진=문화재청


7월 3일부터 10월 23일까지 총 12차례에 걸쳐 매주 토요일 오후 4시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2021 <이수자뎐(傳)>’을 개최한다고 문화재청이 밝혔다. <이수자뎐(傳)> 차세대 무형유산의 전승주역인 이수자들이 활약할 수 있는 공연의 장을 넓히고자 추진되는 공모 공연으로 매년 무형문화재 예능 종목 이수자들을 대상으로 작품을 공모·심사하여 선정된다. 올해는 국가무형문화재 총 12편이 선정되어 무대에 오른다.


올해 선정된 공연작품은 무형유산을 그대로 살린 정통공연 또는 현대적으로 재창작한 작품으로, 옛 풍류방의 정담 있는 음악문화를 재연한 음악극, 전통마술 ‘얼른’에 현대적 기술을 접목한 연희극, 코로나 종식을 기원하는 무용극, 소소한 일상을 노래하는 소리극 등 가(歌)·무(舞)·악(樂)·희(戱)의 다채로운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2021 <이수자뎐(傳)> 공연은 ▲「필률정담」(피리정악 및 대취타/7.3.), ▲「서도소리 ‘구어구어’」(서도소리/7.10.), ▲「수행과 깨달음, 그리고 위로」(아랫녘 수륙재/7.17.), ▲「오래된 아름다움 歌詞(가사)」(가사/7.24.), ▲「전통춤 ‘解冤(해원)’」(살풀이춤/8.7.), ▲「공존:전통과 현대」(거문고산조/8.14.), ▲「흥의 레시피」(남사당놀이(8.21.), ▲「향가의 혼, 그리고 시대의 몸짓」(승무/8.28.), ▲「新(신)춘향가」가야금산조 및 병창(9.4.), ▲「디딤으로 디디다」(처용무/9.18.), ▲「창작무 神(신)과 노닐다」(강릉단오제/9.25.), ▲「가야금산조 ‘NEW WAVE’(뉴웨이브)」(가야금산조 및 병창/10.23.) 등 총 12편의 무대가 펼쳐진다.


공연 관람은 코로나19 방역지침에 따라 입구에서부터 손 소독, 명부작성, 1m 이상 거리두기 등을 준수하여야 한다. 공연장 출입부터 공연 후 공연장을 나갈 때까지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하며, 마스크 미착용 시에는 공연 관람이 제한될 수 있다.


공연은 사전 예약으로 운영되며, 공연 10일 전부터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www.nihc.go.kr)에서 선착순 예약할 수 있다. 또한 네이버 TV(https://tv.naver.com/nihc)에서 실시간으로 공연을 감상할 수 있다. 전석 무료이며, 공연과 공모사업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을 참고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06.29 11:58 수정 2021.06.29 12:29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일본군 #위안소
#일제강제노동
#친일파 #친일반민특위하자
#박정희 #독도밀약 #전두환증거인멸 #독도지키미#고문 #이승만박정희 ..
#제암리 #고주리사건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