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에는 갈치ㆍ참조기ㆍ붉은 대게를 지켜주세요

갈치ㆍ참조기ㆍ붉은 대게를 포함한 10개 어종의 금어기 시작

사진=코스미안뉴스DB


갈치 금어기는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한 달간으로, 2016년 5월에 최초로 도입되었다. 갈치는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에 주로 서식하며, 4월부터 북상하여 여름철에는 서해 중부연안과 남해 연안에서 산란한다. 산란기는 6~11월로, 이 기간 중에 여러 번 산란을 한다. 요각류(동물플랑크톤), 새우류, 소형어류를 주로 섭취하며, 항문장이 25cm이상 성숙하면 산란할 수 있다. 해양수산부는 어린 갈치를 보호하기 위해 금어기 외에 포획ㆍ채취 금지체장도 운영하고 있는데, 금어기와 관계없이 연중 항문장 18cm 이하의 어린 갈치는 포획ㆍ채취가 금지된다.

 

또한, 참조기 금어기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한 달간(근해 유자망 4월 22일~8월 10일)으로, 갈치와 같이 2016년 5월에 시행되었다. ‘조기(助氣)’는 ‘기운을 돕는다‘는 뜻으로, 예로부터 관혼상제에 빠져서는 안 될 귀한음식이자 영양식으로 사랑받았던 어종이다. 참조기는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 수심 40~160m의 모래, 펄에 주로 서식하며, 단각류, 요각류 등 동물플랑크톤과 새우류, 멸치와 같은 소형어류를 섭취한다. 참조기는 전체 길이가 15cm 이상이면 산란할 수 있으며, 전장 15cm 이하의 어린 참조기는 연중 포획ㆍ채취가 금지된다.

 

홍게로 알려진 붉은 대게의 경우, 암컷은 크기와 상관없이 연중 포획ㆍ채취가 금지되어 있으며, 수컷 붉은 대게는 7월 10일부터 8월 25일까지(강원연안자망 6월 1일~7월 10일) 금어기가 적용된다. 붉은 대게는 수심 500~2,000m, 1℃이하의 낮은 수온에서 주로 서식하며, 대부분 통발을 통해 어획된다. 암컷은 개체당 2~50만 개의 알을 품는데, 크기가 클수록 알의 개수도 많아진다. 이 외에 개서대, 옥돔, 해삼, 닭새우, 백합, 오분자기, 키조개도 7월부터 금어기가 시작된다.

 

고송주 해양수산부 수산자원정책과장은 “우리가 즐겨 먹는 갈치와  참조기, 붉은 대게 등이 여름철에 무사히 산란하고 자라나 풍요로운 바다가 될 수 있도록 어업인 및 모든 국민들이 금어기와 금지체장을 지켜주시기를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07.01 10:49 수정 2021.07.01 11:34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일본군 #위안소
#일제강제노동
#친일파 #친일반민특위하자
#박정희 #독도밀약 #전두환증거인멸 #독도지키미#고문 #이승만박정희 ..
#제암리 #고주리사건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