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꿈속의 사랑

사랑해선 안 될 사람을, 사랑한 죄로 우는 사연

손석우/ 중국번안곡 / 현인 // 이찬원

살아있는 한 희망은 있다. 사랑하는 연인을 다시 만날 수 있는 소망, 이런 마음이 간절해지면 꿈을 꾼다. 몽애(夢愛). 이러한 사연을 얽은 노래가 1949년 현인의 목청에 걸려 세상에 나온 <꿈속의 사랑>이다. 이 노래가 사랑의 콜센타 무대에 불려 나왔다. 노래 탄생 71년 만이다. 탄생 연륜으로 치면 고희를 넘긴 원로 유행가다. ‘대전, 권소희. 와우~ 반갑습니다.’ 목소리 끝자락에 연분홍 슈트를 걸친 찬또배기 이찬원의 목청이 간들간들 떨렸다. 전화기 저편에서는 응원 소리가 울린다. 1절 뒤에는 출연 진들의 다이아몬드 스탭 댄스 타임. 발걸음에 분홍 꽃 이파리가 톡톡 차이는 듯하다. 검정 슈트에 백바지를 걸친 김성주의 나팔 걸음 춤 보폭이 너풀너풀 크다. 한바탕 흥 마당이 끝나고, 덕담이 오간다. ‘권소희 씨, 잘 들으셨어요. , 잘 들었습니다. 남편분도 감사합니다. , 영탁 씨 감사합니다~.’아내는 이찬원에게 노래를 콜하고, 남편은 리듬 탁에게 감사와 파이팅을 전했다. <사랑의 콜센타>의 멋이고 맛이다.

 

사랑해선 안 될 사람을 사랑하는 죄이라서/ 말 못 하는 내 가슴은 이 밤도 울어야 하나/ 잊어야만 좋을 사람을 잊지 못한 죄이라서/ 소리 없이 내 가슴은 이 밤도 울어야 하나/ 아아 사랑 애달픈 내 사랑아/ 어이 맺은 하룻밤의 꿈/ 다시 못 올 꿈이라면 차라리/ 눈을 감고 뜨지 말 것을// 사랑해선 안 될 사람을 사랑하는 죄이라서/ 말 못 하는 내 가슴은 이 밤도 울어야 하나/ 아아 사랑 애달픈 내 사랑아/ 어이 맺은 하룻밤의 꿈/ 다시 못 올 꿈이라면 차라리/ 눈을 감고 뜨지 말 것을/ 사랑해선 안 될 사람을 사랑하는 죄이라서/ 말 못 하는 내 가슴은 이 밤도 울어야 하나.(가사 전문)


노래 듣기 ▶https://youtu.be/PUq6vHbFvew 

 

사랑해선 안 될 사랑, 사랑해도 될 사랑의 한계는 무엇일까. 태산은 만물의 호불호(好不好)를 가리지 않아서 큰 골과 능과 숲을 이루었고, 바다는 작은 강 큰 강을 아울러서 풍성함을 유지한다. 사랑은 모든 것을 산처럼 바다처럼 품어주기를 바라지만 그 한계는 51:49. 누가, 누구에게 나의 2%를 내어줄 것인가. 삶을 이어가면서 귀한 것과 천한 것에 비유한다면 내가(개인들 저마다가) 천자(天子)보다 못할 게 무엇인가. 가벼운 것 무거운 것을 가름 한다면 나의 등에 짊어진 지게에 얹힌 짐 덩어리 섶(나무꾸러미)보다 더 무거운 것이 어디 있으랴. 아픈바 위태로운 바를 따질 때 내 손톱 밑의 가시보다 더 큰 아픔이 어디 있으랴. 이런 선택과 관계 속에서 사랑해선 안 될 사람은 나의 2%를 내어줄 수 없는 관계의 대상이다. 그 대상을 사랑한 죄가 바로 <꿈속의 사랑> 노래다. 이 노래는 세대를 거듭하며 여러 가수가 부르는 불후의 애창곡이다. 홍민·윤항기·윤복희·심수봉·박경애·자우림·채은옥 등이 불렀고, 근래에는 슈퍼스타K에서 박시환이 불러서 열광을 받았다. 이 곡은 중국 가요곡에 손석우가 노랫말을 걸친 번안곡이다. 아마도 현인이 해방 이전에 중국에서 활동할 때 익힌 곡을 귀국 후에 발표한 것이라는 설에 무게가 실린다. 현인은 아버지의 꿈과 다른 자신의 꿈을 살아낸 예술가다.

 

<꿈속의 사랑>은 중국의 몽중인(梦中人)이 원곡 가사다. ‘달빛은 그렇게 흐리고 대지는 밤안개로 뒤덮이는데, 내 꿈속의 사랑이여 그대는 어디에 있나. 멀리서는 파도 이는 소리가 들리고, 솔바람은 바야흐로 슬피 우는데, 내 꿈속의 사랑이여, 그대는 어디에 있나. 장미처럼 화려한 봄날이 없으니, 마치 줄 끊어진 금()을 세워놓은 듯하구나. 사랑하는 사람 없이 살아가니, 하루가 지나는 게 마치 일 년이 지나는 것 같네. 밤 앵무새는 숲속에서 슬피 울고, 풀잎 위에는 이슬방울이 맺히네. 내 꿈속의 사랑이여, 그대는 어디에 있나. 장미처럼 화려한 봄날이 없으니, 마치 줄 끊어진 금을 세워놓은 듯하구나. 사랑하는 사람 없이 살아가니, 하루가 지나는 게 마치 일 년이 지나는 것 같네. 밤 앵무새는 숲속에서 슬피 울고, 풀잎 위에는 이슬이 맺히네. 내 꿈속의 사랑이여, 그대는 어디에 있나.’1942, 중국영화 <장미는 곳곳에서 피고>에서 중국 가수(공추)가 부른 곡이다. 이 노래는 815 광복 후 미국 군정 3년을 거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1년 뒤(625전쟁 발발 1년 전)에 탄생한 노래다. 당시는 정치 사회적으로 많이 혼란했고, 이념 감시(監視)의 서슬도 시퍼렇던 시절이다. 그 시절 당국의 이념적 잣대의 감시도 피하고, 밀려오던 서구 문물에 대해서 막연한 동경(憧憬)을 하던 대중들의 관심을 타깃으로 한 산물이다.

 

해방 후 194651, 우리나라에 육군사관학교가 설립된다. 남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South Korean Officer Training School). 미군정은 1946430일 군사영어학교 폐교 후 5월 태릉에 창설했다. 초대 교장은 이형근 참령(소령), 부교장은 장창국 부위(대위)였다. 1기부터 6기까지 1,254명의 장교를 배출했다. 미군정은 단기간에 간부를 양성하기 위해 1기부터 4기까지는 일본군·만주군·광복군 출신 군() 경력자들을 입교시켰다. 이 때문에 장교의 상당수가 일본군 출신이었다. 5기는 5년제 중학 졸업 이상의 민간인을, 6기는 우수 부사관(하사관) 및 병을 대상으로 모집했다. 625 전쟁 때 1기생 연대장으로부터 6기생 중대장까지 30%가 희생되었다. 이것이 정부수립 후인 194895일 국군 창설과 동시에 육군사관학교로 개칭되었다.

 

현인(본명 현동주)의 아버지는 당시 부산에서 영국계 석유회사에 다니던 엘리트였다. 그는 아들에게 이 사관학교 진학을 권한다. 하지만 현인은 성악을 전공한 후 교수가 되기를 원했다. 그는 아버지 몰래 일본행 관부연락선을 탄다. 일종의 가출이었다. 그는 일본에서 성악을 전공한다. 아버지는 화가 나서 학비를 끊어버린다. 현실이 이상을 지배하는 생활고, 그는 신문 배달과 막일 등 닥치는 대로 임하면서도 꿈을 접지 않았다. 성악교수를 향한 몰입이었다. 하지만 이 꿈은 방향을 바꾼다. 아니 바뀌었다. 대중들의 갈채, 박수 소리가 그 이유다. 해방 후 서울로 돌아온 그를 반겨준 것은 밀폐된 강의실의 칠판이 아니라 시공관에서 상연되던 영화 <자유만세>1+1프로젝트 무대에서 노래하는 것이었다. 영화상영+노래공연 프로그램. 그곳에는 대중들의 환호가 있었고, 박수갈채가 있었다. 그는 녹음도 하지 않았던 노래, <신라의 달밤>을 아홉 번이나 재창(再唱)받는다. 우리나라, 앙코르 신화의 탄생 순간이었다. 앙코르(encore)다시, 한 번 더라는 뜻으로서, 연주자가 청중의 박수에 대한 답례로, 다시 그 곡, 또는 다른 곡을 추가로 연주하는 것. encore란 말은 독일, 영국 등에서 사용되며, 프랑스나 이탈리아에서는 bis도 사용한다. 성악교수의 꿈이 대중가수로 뒤 바꿘 순간이다. 아버지의 꿈도 자신의 꿈도 아닌 대중의 꿈으로.

 

사람의 명성(名聲)은 살아있을 때 이루어지고, ()은 이승을 등진 뒤에 드리워진다. 사랑은 명성일까 덕일까. 사랑의 이룸과 드리움은 언제일까. 이는 햇살 머금은 풀잎 이슬처럼 명료하다. 사랑은 이승의 현재진행 동사형으로 이어질 때 향기를 발한다. 마주하는 상대방이 서로를 흠향할 수 있는 실체이다. 지극히 간절하면, 사랑해선 안 될 사랑은 꿈속에서 이루어진다. 그것이 <꿈속의 사랑>이다. 살아있는 한 소망을 버리지 마라. 첫사랑을 다시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을. 희망, Spero Spera. 키케로의 설파다.



[유차영]

시인

수필가

문화예술교육사

한국유행가연구원 원장

유차영 519444@hanmail.net

 

전명희 기자
작성 2021.07.01 11:37 수정 2021.07.01 12:0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