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의 6·25 전쟁영웅, 노르웨이 이동외과병원 선정

정전협정 체결 이후에는 민간인 치료에 전념

사진=보훈처


국가보훈처는 ‘20217월의 625 전쟁영웅으로 노르웨이 이동외과병원(NORMASH : Norwegian Mobile Army Surgical Hospital)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르웨이 이동외과병원(NORMASH)1951719일부터 19541018일까지 33개월 동안 활동한 의료기관으로, 의사 80, 치과의사 5, 간호사 33명 등 연인원 623명을 파견하여 전쟁에서 다친 장병들의 치료에 주력하였고, 특히 정전협정 체결 이후에는 민간인 치료에 전념하였다.


노르웨이 정부는 6·25전쟁이 일어나자 유엔의 요청에 따라 적십자사를 통한 의료지원부대 파견을 계획하였고, 6개월마다 파견 인원을 교대시킨다는 방침으로 램스테드(Herman Ramstad) 대령과 83명으로 구성된 노르웨이 이동외과병원을 파견하였다파견 당시 병원은 미 제1군단을 직접 지원할 목적으로 진료업무를 시작했고, 개소 당시 83명에 불과한 인원을 이동외과병원 편성 수준인 126명에 맞추기 위해 부족한 인원을 한국인으로 보충하였다.


이후 노르웨이 정부는 6·25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110명의 의료 요원을 추가로 파견하였고, 공식 명칭도 노르웨이 이동외과병원(NORMASH)으로 결정하였다동 병원 각 제대의 근무 기간은 6개월로서 기간 중 7회에 걸쳐 제대가 교대되었다. 그러나 다수 의료진은 복무기간을 연장하여 1~2년 동안 근무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가를 이용하여 서울에 있는 민간병원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동 병원 외과반은 참전기간 중 크고 작은 수술을 합하여 총 9,600회를 실시하여 1일 평균 8회의 수술을 하였고, 치열한 전투가 반복될 때에는 164회의 수술을 하기도 하였다195410월 철수할 때까지 동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총 14,755명이었고, 입원환자 중 4,317명이 완치되어 퇴원하였고, 잔여 환자 10,288명이 후방으로 후송되었다. 그러나 동 병원에서 사망한 환자 수는 150명으로 전체 환자수의 1.2%에 지나지 않았다.


노르웨이 정부는 병원이 철수한 이후에도 스웨덴, 덴마크 정부와 긴밀히 협조하여 국립의료원의 설립과 운영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대한민국의 의료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07.03 10:42 수정 2021.07.03 11:1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일본군 #위안소
#일제강제노동
#친일파 #친일반민특위하자
#박정희 #독도밀약 #전두환증거인멸 #독도지키미#고문 #이승만박정희 ..
#제암리 #고주리사건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