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 「안녕, 모란」 특별전 개최

왕실혼례복 등 모란 주제의 조선왕실 용품 120여 점

7.7.~10.31

사진=문화재청


 7일부터 10월 31일까지 모란꽃을 매개로 조선왕실 문화를 살펴보는 특별전 「안녕安寧, 모란」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는 모란도 병풍을 비롯하여 궁궐의 그릇, 가구, 의복 등 각종 생활용품과 의례용품에 즐겨 장식되던 모란꽃을 담은 여러 유물 120여점이 대거 공개되며, 모란이 수놓인 창덕궁 왕실혼례복이 처음 공개된다.


특히, 창덕궁 낙선재에서 포집한 모란향으로 제작한 꽃향기가 전시공간에 퍼지도록 하고, 빗소리와 새 소리 등 정원에서 들을 수 있는 생생한 자연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구성해 한결 생생한 감상의 공간이 되도록 꾸몄다.


전시는 ▲ 1부 ‘가꾸고 즐기다’, ▲ 2부 ‘무늬로 피어나다’, ▲ 3부 ‘왕실의 안녕과 나라의 번영을 빌다’등 3부로 구성해, 모란이라는 식물과 그 무늬를 조선 왕실에서 어떻게 사용하고 즐겼는지, 그리고 그 안에는 어떠한 상징이 담겼는지를 집중 조명하였다.
 

▲ 1부 ‘가꾸고 즐기다’에서는 모란이라는 식물을 가꾸고 감상하며 그림으로 그려 즐기던 전통을 살펴보았다. 전시실은 영상과 조경물로 연출된 정원 형태로 꾸몄다.
관람객은 올봄 창덕궁 낙선재 화계(花階, 계단식 화단)에 핀 모란에서 포집해 제작한 향을 맡으며, 빗소리, 새의 지저귐이 어우러진 정원에서 18~19세기의 대표적 모란 그림인 허련(1808~1832), 남계우(1881~1890) 등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 2부 ‘무늬로 피어나다’는 조선왕실 생활공간을 장식한 무늬로서의 모란과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살펴보았다. 무늬는 장식적 기능과 함께 특정한 상징을 담는 기호이기도 하다. 왕실에서는 부귀영화의 상징인 모란을 각종 생활용품에 무늬로 사용하면서, 풍요와 영화가 가득하기를 기원했다. 나전 가구, 화각함, 청화 백자, 자수물품 등 다양한 유물을 통해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


모란 무늬가 가장 극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혼례복이나 가마와 같은 왕실 혼례이다. 총 2벌의 혼례복 중 한 벌은 복온공주(순조의 둘째딸, 1818~1832)가 혼례 때 입은 것인데, 남아 있는 활옷 중 제작 시기와 착용자가 명확한 유일한 것이다. 나머지 한 벌은 창덕궁에서 전해 내려오는 활옷인데, 재미있는 것은 보존처리 중에 옷 속에서 발견한 종이심이다. 겉감과 안감 사이에 넣어 옷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 이 종이심이 살펴본 바 1880년 과거시험 답안지를 재활용한 종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창덕궁 활옷은 이번 전시에서 일반에 최초로 공개되는 것이다.


2부는 종류와 구성이 다양한 유물이 전시되는 것을 고려하여, 두 개의 공간으로 나누고 그 사이에 유리 벽면을 설치해 연속성과 단절성을 함께 살렸다. 전면부는 방 형태로 공간을 구성하고, 창덕궁 낙선재 문살 장식을 활용해 벽면을 연출하고 천장에서 새어 나오는 따뜻한 조명 아래 유물을 배치했다. 혼례용품이 있는 부분은 주변에 삼베를 길게 늘어뜨린 후 혼례복의 다양한 꽃무늬를 활용한 미디어 아트를 연출하여 활옷 무늬에 담긴 각종 복을 기원하는 마음이 관람객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했다.


▲ 3부 ‘왕실의 안녕과 번영을 빌다’는 왕실의 흉례(凶禮)와 조상을 모시는 의례에 사용된 모란을 조명했다.
흉례의 절차마다 모란 무늬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각종 의궤, 교의(交椅), 신주 신여(神輿, 가마), 향로와 모란도 병풍을 통해 소개했다.


3부의 중심 유물은 단연 모란도 병풍이다. 흉례의 전 과정에 모란도 병풍을 사용한 것은 왕실의 번영과 안녕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았기 때문이다. 전시장 3면을 모두 모란도 병풍으로 둘렀으며, 관람객이 병풍을 최대한 가까이에서 볼 수 있도록 유물과 유리면 사이 거리를 좁혔다. 3부 마지막 부분에는 왕의 어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선원전을 연상시키는 공간을 조성하여 모란도 병풍과 향로, 교의, 의궤를 함께 전시해 왕실의 조상을 모시는 의례와 모란의 관계를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관람을 위해서는 누리집을 통해 사전예약을 해야 하며 현장접수도 할 수 있다. 다만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하여 사전예약과 현장접수를 합하여 시간당 100명, 일일 최대 1,000명까지 개인 관람으로만 입장이 가능하고 마스크 착용과 발열 여부 점검, ▲ 한 방향 관람 등을 지켜야 한다.



Special Exhibition Peonies: Flowers of Peace and Prosperity to www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The Joseon royal court wedding dress from Changdeokgung Palace to meet the public for the very first time, along with 120 other objects on display, from July 7th to October 31st -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Director Kim, Dong-Young)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olds a special exhibition under the title Peonies: Flowers of Peace and Prosperity, from July 7th to October 31st,. The theme of the exhibition is peonies, embedded in the culture of the Joseon royal court. One of the highlights of this exhibition is a hwarot, a type of bridal gown, which had been housed in Changdeokgung Palace and will be presented to the public for the very first time. Also,a large number of folding screens of peonies will greet the visitors. Special efforts have been made to enchant the visitors with what they see, smell and hear at the exhibition .


Ritual objects and everyday items at theroyal palaces, including clothing, vessels , and furniture, were commonly adornedwith peony designs. This exhibition sheds light on how the Joseon royal court enjoyed peonies as plants and designs and what these flowers symbolized.


The special exhibition Peonies : Flowers of Peace and Prosperityconsists of three sections. ▲ Section I ‘Growing and Enjoying Peonies’, ▲ SectionII ‘Blooming Peonies in Designs’and ▲ SectionIII ‘Peonies Embodying Wishes for a Peaceful Royal Court and a Prosperous Dynasty’.


Section I,‘Growing and Enjoying Peonies’explores the tradition of cultivating, appreciating, and paintingpeonies. The exhibition hall is decorated as a garden with visual effects and flower decorations. Visitors will enjoy representative artworks from the 18-19th century such as the works of Heo Ryeon (1808–1892) and Nam Gye-u (1811–1890), as they walk through the garden, welcomedby a gentle breeze carrying a subtle floral fragrance developed from the fresh peoniesthat bloom in Changdeokgung Palace and entertained by the sounds of chirping birds and falling raindrops.


▲ SectionII,‘Blooming Peonies in Designs’presents a variety of objects bearing peony designs that decorated the royal court andexplores the meaning carried by each piece. These designs not only served a simple decorative function, but also carriedsymbolic implications.The Joseon royal court enjoyed using peonies,which symbolize wealth and honor, as decorative designsand hoped for prosperity and abundance for the Joseon royal family. The peony designs were used in various objects including mother-of-pearl inlayed furniture, box decoratedwith painted ox-horn plate, white porcelain jar in underglaze cobalt-blue and other embroidered objects.


The most dramatic display of its use can be found in royal marital items, including traditional royal wedding dresses, or thehwarot (bridal robe), the royal palanquin and other marital ceremony items. There are two hwarots on display at this exhibition and one of them is the hwarot worn by Princess Bokon (1818~1832), the second daughter of King Sunjo, on her wedding day. This is the only hwarotwhose wearer and date of making are known. The other exhibited hwarot is a traditional piece from Changdeokgung Palace. In the process of preserving the dress, it was found that the paper padding used to shape the gown is actually repurposed test papersfrom a civil service exam held in 1880. The hwarots will meet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is exhibition.


The exhibition space in Section II is divided into two, using a glass wall, to achieve both the separation of space and visual continuity. This helps to better showcase the diverse types and the wide range of objects on display. The front area of the exhibition hall is designed to appear as if visitors were inside one of therooms  in thepalace. Furniture and accessoriesare arranged enclosed by walls incorporating the traditional lattice doorsof palace architecture and are caressed by the lighting falling from the ceiling.The royal marital items are displayed along with a media art installation utilizing diversemotifs from hwarot that is replete with embroideredfloral designs, including peonies. It aims at conveying the wishes for good fortuneembodied in the designs to all the visitors.


▲ SectionIII, ‘Peonies Embodying Wishes for a Peaceful Royal Court and a Prosperous Dynasty’highlights peonies as they were used in funeral ceremonies and rituals to honor the ancestors in the royal court. The exhibition introduces how the peony design was used in the different stages of royal funeral rites, in the royal protocols, chair for laying a spirit tablet, palanquin for transporting a spirit tablet, incense burner and the folding screen with peonies. The highlight of Section III, no doubt, is the folding screen with peonies, which was used throughout the entire stage of a funeral rite, baring wishes for peace and prosperity for the royal court. The exhibition space is surrounded by folding screens withpeonies, which are placed much closer to the glass walls, so that the visitors can see the details up close. Towards the end of Section III, a space depicting a shrine has been set up, where the ancestral rituals honoring the deceased kings with royal portraitswere held. The folding screens with peony designs, incense burners, royal chair for laying a spirit tablet and royal protocols are arranged together to help visitors better understand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onies and the ancestral rites of the royal court.


Visitors must make on-line reservations or register off-line to see the special exhibition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The number of daily visitors from both on-line and off-line registration may not exceed 100 persons per hour and a total of 1000 persons per day, due to COVID 19. Also, please note the following. ▲ No group tours are allowed. ▲ All visitors must wear a mask and check their temperature upon entry to the museum. ▲ All visitors must follow the designated route for viewing the exhibition.


Just as theJoseon royal court wished for peace and prosperity through the beautiful peonies, the special exhibitionPeonies: Flowers of Peace and Prosperity, by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arries the hopethat we will soon regain our peaceful and beautiful life, overcoming the unprecedented challenges of the pandemic.

정명 기자
작성 2021.07.06 12:01 수정 2021.07.06 12:0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일본군 #위안소
#일제강제노동
#친일파 #친일반민특위하자
#박정희 #독도밀약 #전두환증거인멸 #독도지키미#고문 #이승만박정희 ..
#제암리 #고주리사건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