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궁금한 개인정보, 표준해석

개인정보위, 국민 다수가 궁금해하는 개인정보 관련 문답 제시

사진=코스미안뉴스 DB


신원확인을 위해 다양한 상황에서 주민등록증 복사를 요구하는데, 주민등록증을 그대로 복사해도 될까?

답=법령에 근거가 없으면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할 수 없으므로 주민등록번호 뒤의 6자리가 복사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사례1) 이삿짐센터 직원 A가 고객의 이사 갈 집 주소를 제3자에게 알려주었다. 보호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가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누설하거나 권한 없이 다른 사람에게 제공할 수 없으나, 업무처리를 위해 권한 있는 자에게 전달한 경우는 법 위반이 아님

 

(사례2) B학원은 학생관리를 위해 학생과 보호자의 연락처를 수집한 후, 비상 연락망을 제작하여 배부하고자 한다. 동의를 받아야 하는지?

B학원 학생(14세 미만은 법정대리인) 및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야만 학생들의 비상연락망을 제공할 수 있음

 

(사례3) C관리사무소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회원가입을 할 때, 동호수와 실명을 아이디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보호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입주자대표회의 의결 또는 관리규약에서 정한 경우 등 동호수와 실명을 아이디로 쓸 수 있으나, 홈페이지 운영자는 가입단계에서 정보 주체의 동의를 받는 등, 개인정보 안전관리 유의 필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설치된 개인정보 법령해석 지원센터에서는 작년 8월 개인정보위 출범 이후 현재까지 총 10,070, 월평균 965건 개인정보와 관련한 법령해석 민원을 처리하였다. 개인정보위는 이처럼 국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궁금해하는 개인정보 관련 다양한 내용을 70개 문항의 개인정보 보호법표준해석 사례로 정리하여 83일부터 개인정보위 누리집(pipc.go.kr)과 개인정보보호 종합포털(privacy.go.kr) 등에 공개한다.

 

아울러 국민비서 답벗(챗봇)’에도 표준해석례를 제공하여 국민들이 더 손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표준해석 사례는 지난 해 개인정보 법령해석 지원센터처리한 반복되는 민원 총 1,060건의 법령해석과 2011년 개인정보위 출범 이후 262건의 법령해석 심의·의결에서 발췌했다.

 

개인정보위는 이번 70개의 표준해석 사례를 시작으로 국민 생활과 밀접한 개인정보 관련 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표준해석 사례로 정립해 나갈 계획이다. 이로써 국민들은 직접 민원을 제기하지 않고도 온라인 검색을 통해 쉽게 개인정보 관련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박상희 개인정보위 사무처장은 개인정보는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법령해석 요청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주기적으로 해석례를 발굴하여 국민들의 개인정보 관련 궁금증을 해소하고 기업들이 개인정보를 잘 보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릴 것이라고 밝혔다.

정명 기자
작성 2021.08.04 10:11 수정 2021.08.04 11:3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일본군 #위안소
#일제강제노동
#친일파 #친일반민특위하자
#박정희 #독도밀약 #전두환증거인멸 #독도지키미#고문 #이승만박정희 ..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