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 참나무 가지들이 땅에 떨어지는 숨은 비밀!

도토리거위벌레의 생존전략으로 도토리를 얻기 위한 가지 치기

사진=서울시


8월 한여름이면 남산을 비롯한 서울의 공원과 산 곳곳에서 땅위에 수북하게 쌓여 있는 참나무가지들을 심심찮게 만날 수 있다. 떨어진 참나무 가지마다 참나무 잎과 도토리가 달려 있고, 잘린 가지는 톱질을 한 듯 아주 반듯하게 잘려 있다.

 

서울시는 이러한 땅에 떨어진 참나무가지에 관한 이야기를 남산생태보물창고 소식지를 통해 시민들에게 제공했다. 남산에는 소나무(17%)도 많지만 실제로는 참나무(24%)더 많이 분포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참나무를 터전으로 삼아 살아가는 생물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생물이 다람쥐도토리거위벌레이다.

 

특히 도토리거위벌레는 1cm 정도의 크기로 아주 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산란을 위해 적당히 설익은 도토리를 찾아 주둥이로 구멍을 뚫어 알을 낳고 도토리가 달린 참나무가지를 4시간여에 걸쳐 톱질하듯 아주 반듯하게 잘라 낸다.

 

7월말부터 참나무 잎과 도토리가 달린 참나무가지를 떨어뜨리기 시작하고 8월이면 도토리거위벌레의 맹렬한 가지치기가 절정에 달해 땅바닥이 온통 참나무가지로 뒤덮이게 된다.

 

숲을 걷다 땅에 쌓여있는 참나무 가지들을 본 사람은 누군가 가지를 잘라냈거나, 바람에 꺾여 떨어진 것 또는 병충해 등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는 자연 속에서 도토리거위벌레도 자기만의 생존전략을 찾은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또한 도토리거위벌레의 가지치기로 참나무는 지나치게 많은 열매가 발생하여 부실해질 수 있는 위험이 줄어들고, 더욱 튼실한 도토리를 맺게 되는 과실 솎아내기(적과, fruit thinning)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 공생관계를 갖는다.

 

중부공원녹지사업소 김인숙 소장은 숲속에는 다양한 종류의 나무와 생물들이 공존하며 저마다의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남산은 도심 속 자연이 유지되는 곳으로 다양한 생물들의 신기한 생활들을 엿볼 수 있으니 공원을 방문하는 시민들이 생명력 가득한 공원을 마음껏 즐겨 주시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정명 기자
작성 2021.08.14 09:11 수정 2021.08.14 10:0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일본군 #위안소
#일제강제노동
#친일파 #친일반민특위하자
#박정희 #독도밀약 #전두환증거인멸 #독도지키미#고문 #이승만박정희 ..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