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청년임업인, 경력단절여성 등으로 구성되어 지역에서 스스로 필요한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지역경제성장을 이끌어갈 주민공동체 26개를 17일 새롭게 선정했다.
산림일자리발전소는 주민공동체(그루경영체) 발굴을 지난달, 54건의 사업신청서를 제출받아, 1차 서류심사와 2차 발표,면접심사를 거쳐 최종 26개를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주민공동체(그루경영체)는 올해에 선발된 그루매니저가 활동하는 전국 9개 지역의 청년임업인, 귀산촌인, 이주여성 등으로 다양한 이력의 주민들로 구성되어 있다.
‘천태산 작은 숲학교(영동)’은 마을주민과 귀촌인들로 구성되어, 폐교를 활용하여 숲놀이터로 만들고 숲체험과 교육서비스 제공하고, ‘정선나물연구소(정선)’은 5명의 청년 농,임업인으로 구성되어 임산물(삼나물, 곤드레)을 생산하고, 최신 소비형태를 반영한 임산물 가공품 판매한다.
‘소백산 동네목수(단양)’은 건축현장경험이 있는 주민들로 구성되어 작은집짓기 및 헌집수리 등으로 귀산촌인들의 안정적 정착 지원하고 ‘모리모꼬지(군포)’는 일본에서 이주한 경력단절여성들로 구성되어 간벌재를 활용한 친환경 목재품 생산 및 판매한다.
‘감 익는 마을(청도)’는 감을 생산하는 임업인들로 구성되어, 청도지역 특산품인 반시를 활용하여 감말랭이, 얼음 홍시 등 임산물간식 가공 및 판매하고 ‘온누리숲(보령)’는 어린이집 폐업으로 경력단절된 유치원 교사로 구성되어, 숲생태 교육 및 숲놀이 교구재료 제작한다.
특히, 선발된 주민공동체(그루경영체)는 향후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과 우수사업 현장견학 및 시제품 생산, 홍보지원 등 산림일자리발전소 지원사업을 최대 3년 동안 받을 수 있다.
한편, ’18년 4월 산림일자리발전소 출범 이후 현재 1,910명 참여하는 227개의 주민공동체(그루경영체)가 활동하고 있으며. 약 110개는 법인화하여 지역에 특화된 산림 사업을 만들어 가고 있다.
산림청 조성동 산림일자리창업팀장은 “산림일자리발전소는 주민 스스로 사람중심의 산림일자리 발굴에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발굴된 주민공동체(그루경영체)는 창업이라는 희망을 목표로 정진하고 있다”라면서, “창업을 통해 양질의 산림일자리를 발굴하여 산촌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폐교를 활용해 숲놀이터로 만드는 주민공동체
‘천태산 작은 숲학교(영동)’ 마을주민과 귀촌인들로 구성
등록기자: 서문강 [기자에게 문의하기] /
작성
2021.08.18 09:52
수정
2021.08.18 10:0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News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크리비리흐시 ...
2025년 3월 예멘 국경없는의사회 영양실조 치료식 센터에 입원해 회복중인 3개월령 아기 ...
파키스탄 구지란왈라 지역 소재 약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프로젝트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의사 마함...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가하는 봉쇄를 강력히 규탄한다. 3월 9일자로 ...
그래서 떠났지 그럴 뿐이었지. 길 위에서 길을 찾았...
어쭙잖은 지식으로 남들 앞에 서 온 것이 서른 해가 넘었다. 어린 학생들 앞에도 ...
'해바라기'와 '별이 빛나는 밤'으로 잘 알려진빈센트 반 고흐는 정물화와 풍경화...
광복 80주년을 맞아 찾아온 금·토·일 3일간의 황금연휴, 내륙관광 1번지 충북...
충무공 이순신은 임진왜란 시기 자신이 겪은 여러 가지 사건을 『난중일기』에 기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