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글로벌 창업 생태계 280개 도시 중 16위

280개 도시 중 서울 16위로 역대 최고

우수한 인재 파이프라인, R&D 투자 등 높이 평가


서울시는 글로벌 창업생태계 분석기관인 스타트업 지놈(Startup Genome)이 발표한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Global Startup Ecosystem Report 2021)에서 서울이 16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서울의 창업생태계 가치(Ecosystem Value)54조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번 평가는 전 세계 100개국 280개 도시를 대상으로 진행된 것으로, 서울 창업생태계 순위는 ’2020위에서 4단계 상승하여 조사 대상에 포함된 ’17년 이후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서울은 ’19년에는 30위권 밖에 위치하였으나, ’20년에는 서울의 R&D 역량 등에 힘입어 Top 20위에 진입하는 등 지속적인 순위 상승을 이루어냈다. ‘2021년 글로벌 창업 생태계 보고서런던 테크 위크(London Tech Week)’의 행사 중 하나인 ‘Elevating Founders’에서 922() 온라인 생중계로 발표되었다.

 

스타트업 지놈은 서울의 강점으로 우수한 인재 파이프라인과 높은 R&D 투자금액을 꼽았다. 특히, 서울은 연구실적·특허로 평가하는 지식축적분야에서는 글로벌 Top 4위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현재 국내 11개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9개사가 서울에 위치하는 등 서울은 풍부한 기업환경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스타트업 지놈은 서울 전역에 걸쳐 창업거점(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서울시가 적극적으로 창업정책을 펼치는 점에서도 서울 창업생태계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서울시는 ’09년부터 청년 예비창업가 연간 1000팀을 선발 및 육성하는 청년창업 1000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창업정책을 추진해왔다. 마포 서울창업허브, 홍릉 바이오허브, 양재 AI허브 등 권역별·산업별 생태계 육성을 위해 창업보육·제품화·네트워킹 등의 창업거점을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13천여 개의 기업을 키워냈고, 이를 통해 5조원 매출, 8,543억원의 투자유치, 17천 명 이상의 고용 창출 성과를 달성하였다.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는 서울 창업생태계 내 강세를 보이는 산업에 대하여 AI빅데이터애널리틱스(AI&Big Data and Analytics), 생명과학(Life Sciences) 그리고 게임 산업(Gaming)을 꼽았다.

 

서울시는 올해 10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지원공간인, ‘BT-IT융합 센터’, 11월에는 대중견기업과 스타트업 간 상생·기술협업 프로그램인 오픈 이노베이션지원 거점인, 서울창업허브M+를 개관하는 등 특화 창업인프라를 확충하는 한편, 대학별 캠퍼스타운과 연계를 강화하여 혁신인재·연구역량이 창업문화로 확산되도록 촉진할 계획이다. 향후 용산 IT, 여의도 핀테크 등 7대 혁신산업 클러스터 및 동대문, 잠실 등 3대 문화 관광 융합산업 클러스터 육성을 통해 도시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 6개 평가항목 중 서울의 창업생태계는 지식축적(Knowledge, 10), 네트워킹(Connectedness, 9), 생태계활동성(Performance, 6) 항목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자금조달(Funding), 시장진출(Market Reach) 부분은 보통(5)으로 평가받았다.

 

이와 관련하여 스타트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책금융 스케일업펀드10년간 10조원 규모로 조성·투자하여 스타트업의 혁신 기술·상품 고도화를 중점 지원하며, 유망 기업의 신속한 시장안착 지원을 위해 스타업의 아이디어가 신속히 제품화 될 수 있도록 시제품 제작 및 양산, R&D를 지원하고, 시정현장 외 구정현장, 학교현장 등에서도 제품서비스의 테스트베드를 확대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창업생태계 Top 51위 실리콘밸리(), 공동 2위 뉴욕()런던(), 4위 베이징(), 5위 보스턴() 순으로 예년과 동일하다. 글로벌 Top 20위권 내 아시아 도시는 서울 포함 6개로 베이징(4), 상하이(8), 도쿄(9), 싱가포르(17), 선전(19) 순이다.

 

황보연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서울시는 그간 유망 스타트업의 발굴과 육성을 위해 창업디딤돌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2030년 서울의 유니콘 기업 40개 양성, 글로벌 TOP5 수준의 창업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정책금융, 신속한 시장안착을 위한 제품화 지원,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네트워크 확대 등 스타트업 기업들에게 꼭 필요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창업친화적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여계봉 기자
작성 2021.09.23 10:25 수정 2021.09.24 10:4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여계봉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