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화재단, 서울시민의 마음 기록하는 '감정서가'에서 예술 프로젝트 열어

예술가와 감정에 관한 토크 <대화의 감>

사진=서울시


서울문화재단은 시민의 감정을 탐색하는 공간으로 운영 중인 감정서가’(용산구 서빙고로 17)에서 15백 명의 마음을 모아 기록하는 비대면 예술 프로젝트 <사서함: 감정의 고고학>, 온라인 토크 프로그램 <대화의 감()> 등을 연말까지 진행한다.

 

감정서가는 코로나19가 길어지면서 지친 감정을 직접 기록하면서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흘려보낸 내면을 되돌아보는 곳이다. 방문객들은 서가에 비치된 감정에 관한 문장을 읽고 감정카드에 자신이 직접 글씨로 옮겨 적거나 기록으로 남길 수 있다. 이후 남겨진 기록물은 감정서가에 전시돼 시민 개개인의 감정이 담긴 서가를 이루고 축적된 문장은 책으로 다시 태어난다.

 

시민 15백 명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예술 프로젝트인 <사서함: 감정의 고고학>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부득이하게 비대면 방식으로 펼쳐진다. 참여자들은 염지희 작가(콜라주 아티스트)와 함께 신문지, 인쇄물 등 종이와 사진을 오려 붙이는 콜라주 아트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내면에 숨겨진 감정을 표현하게 된다.

 

프로젝트 참여자들은 콜라주 노트, 이미지, 감정 낱말카드, 가위, 풀 등으로 구성한 콜라주 아트키트를 택배로 받아볼 수 있다. 각자가 만든 결과물(이미지 콜라주, 문장 등)은 다시 회수한 후 재편집을 거쳐 2021 감정백과사전(가칭)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참여하기 원하는 시민이라면 오는 927()부터 선착순으로 모집하니 누구나 신청하면 된다.

 

당신의 날씨(How is Your Weather?)’라는 주제로 열리는 온라인 토크 프로그램 <대화의 감()> 건축스튜디오 바래(BARE)의 상호반응 설치 작품인 당신의 날씨를 통해 타인의 감정과 공간 경험의 상호작용을 이야기한다.

 

서울문화재단 공식 유튜브 채널인 <스팍TV>(youtube.com/sfacmovie)를 통해 오는 101() 오후 7시에 열리는 <대화의 감()>감정서가 디렉터인 이재준(건축가)이 모더레이터로 참여하며 전진홍·최윤희(건축스튜디오 바래 공동대표), 홍보라(팩토리2 디렉터)가 패널로 함께한다. 온라인 토크 프로그램은 101()을 시작으로 12월까지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1029, 1126, 1231)마다 생중계로 진행되며, 1029일 부터는 마음사전의 저자인 김소연 시인이 모더레이터로 함께해 감정에 관한 다양한 주제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예술가를 초대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직물, 사운드, 공예, 키네틱아트, 제본 등 다양한 창작 활동을 통해 내면의 감정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시각화해보는 예술 워크숍을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진행한다.

 

세부 프로그램은 축적된 감정카드를 바탕으로 나만의 책을 만드는 감정출판<글쓰기 워크숍>(10/6~11/3, 매주 수요일)(김소연 시인) <예술제본 워크숍>(11/10~12/1, 매주 수요일)(윤성서 제본디자이너) 일상의 언어를 사진언어로 표현하는 워크숍 <마음도 통역이 되나요>(9/29~10/27, 매주 수요일)(오석근 시각예술가) 움직이는 모형을 예술적 상상력과 기계동력을 기반으로 한 조형 작업 워크숍 <감정, ‘의 또 다른 에게>(11/5~11/26, 매주 금요일)(정민정 키네틱 아티스트) 등이다.

 

프로그램 참여 신청과 공간 방문은 네이버 예약 페이지(naver.me/G4rLZyHz) 통해 진행하면 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문화재단 누리집(www.sfac.or.kr) 또는 감정서가공식 인스타그램(www.instagram.com/gamjungseoga)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09.25 10:17 수정 2021.09.25 10:2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