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봉의 삶의 향기] 잘츠카머구트를 지나며

여행은 물에 새긴 그리움이다

 

K 형, 여행은 호수에 핀 추억입니다. 알프스의 산록과 푸른 초원 사이로 보이는 쪽빛 호숫가에 새긴 그리움입니다. 그 호수 위를 바람 타고 솟구치는 내 영혼의 연(鳶)입니다. 사운드 오브 뮤직의 환영(幻影)을 따라 운터스베르크 산정을 사슴처럼 뛰어오르는 내 젊은 날의 반추입니다.

K 형, 잘츠부르크를 떠난 지 1시간 남짓, 그림엽서 속으로 들어갑니다. ‘잘츠카머구트’라고 불리는 이곳은 70여 개나 되는 청정호수들이 높은 알프스의 연봉들에 둘러싸인 오스트리아 최고의 절경입니다. 초입(初入)의 푸슐 호수.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의 첫 장면으로 나왔던 이 호수 뒤 원시림은 아예 물속에 풍덩 몸을 담근 채 미동도 하지 않습니다.

이 산마을의 멋은 제라늄의 터질 듯한 붉음에서 더욱 빛납니다. 운치 있게 잘 정돈된 농가들의 발코니 마다 붉디붉은 꽃들이 멋지게 드리워져 있지요. 자연과 사람이 빚은 하모니가 눈부십니다. 이 조화는 몇 세대 동안 손톱이 빠지도록 경관을 가꿔온 선대들의 피땀 어린 열매라고 합니다.

형도 아시다시피, 잘츠부르크와 잘츠카머구트의 지명 속의 잘츠는 소금(salt)이란 뜻이지요. 이 지역은 빙하의 침식으로 암염광이 노출돼 옛날 귀금속만큼 귀했던 소금 광산의 중심지랍니다. 이 지역의 꽃인 할슈타트(Hal1statt) 마을은 BC 800년부터 시작된 철기시대의 발상지라 하지요. 지명의 첫 자인 할(Hall)이 처음 정착했던 켈트 족의 언어로 소금이란 뜻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곳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보고(寶庫)였다고 하지요.

고자우 호수로 들어갑니다. 해발 2,300미터나 되는 웅장한 고봉엔 태곳적부터 있었던 하얀 빙하가 햇빛에 반짝입니다. 꽤 큰 수력발전소를 세워 마을에 불을 밝히고, 호수 주변을 물의 교육장으로 꾸며 놓았습니다. 오솔길을 걸으며 물의 특성을 설명한 상징물들을 들여다봅니다.

돌 팻말에 ρ= 999.97 kg/㎥ at 4。C 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섭씨 4도에서 물의 밀도가 가장 크다는 뜻이지요. 잘 알려진 대로 이는 너무나 중요한 물의 특성입니다. 0도 때의 얼음 보다 비중이 큽니다. 그래서 얼음이 물위에 뜨지요. 이 속성 때문에 물이 표면부터 얼고, 그 아래 물 속에선 물고기들이 숨을 쉬며 살아갑니다. 보통 물질들은 고체상태에서 밀도가 더 큰데, 물만은 다르니 그 섭리가 참 오묘하지요.

C = 4.187 J/g K 라는 등식도 돌에 새겨 놓았습니다. 이는 물의 열용량이 다른 액체보다 2~3배 더 크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물은 온도차이에 비교적 천천히 반응하지요. 참 소중한 물의 특성입니다. 이 때문에 오랜 세월 동안 대기의 온도가 웬만큼 변해도 바닷물의 엄청난 열 보존능력으로 인해 지구의 기온이 크게 변하지 않았지요.

그런데 K 형, 아시다시피 이 중요한 물의 속성이 점점 변해가고 있습니다. 극심한 지구온난화로 물의 열량 보존력이 감당 못할 만큼 지구 온도가 높아지고 있지요. 우리 눈앞에 있는 고자우의 빙하가 바로 그 증거입니다. 망원경으로 보니 매년 사오십 미터씩 후진해 간 흔적이 보입니다. 지난 백 년간, 반 이상 녹은 셈이지요. 금세기 안에 알프스의 모든 빙하들이 사라질 것이라는 예견은 우리를 두렵게 합니다. 아니 슬픈 마음이 더 큽니다.

그러나 할슈타트에 들어서는 순간, 다시 천국에 온 듯한 기분입니다. 아슬아슬하게 벼랑 끝에 매달린 고딕 성당, 첨탑이 아름다운 루터란 교회당, 그리고 진홍빛 제라늄으로 단장한 꽃동네가 물안개 위에 떠 있습니다.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아온 태곳적 마을 임에도 주민들이 힘을 합쳐 멋진 세계적 문화유산지로 가꿔 놓았습니다. 옛 문화와 새 문명의 연결을 위해 끊임없이 변모해 왔기 때문이겠지요.

허나 사람은 변해도 물은 변치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고백컨데 호수에 새긴 우리들의 추억과, 산 마을에 심은 사연이 또 다른 천년이 흐른 후에도 변함없길 바라기 때문이지요. 시인이 그대가 곁에 있어도 그립다라고 했는데, 할슈타트의 정경(情景)은 보고있어도 또 보고픈 아쉬움에 젖게 합니다.




[김희봉]

서울대 공대, 미네소타 대학원 졸업

Enviro 엔지니어링 대표

캘리포니아 GF Natural Health(한의학 박사)

수필가, 버클리 문학협회장




편집부 기자
작성 2018.11.29 11:38 수정 2018.12.05 17:1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