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로 떠나는 여행’을 주제로 10월 1일(금)부터 10일(일)까지 ‘2021 공예주간(Korea Craft Week 2021)’을 개최한다. 올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친 국민들이 주변의 가까운 곳에서 공예를 경험하고 일상을 치유해 생기 넘치는 가을날을 보내길 바라는 의미를 담아 주제를 정했다.
전국 634개의 공방과 갤러리, 문화예술기관 등이 참여한 ‘2021 공예주간’ 행사는 방역수칙과 거리두기를 준수한 가운데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된다. 공예주간에는 공예를 주제로 한 전시와 체험, 판매, 강연 등 총 1,013개의 다양한 연계 행사가 전국에서 펼쳐진다.
먼저 올해 공예주간의 주요 행사로 공예전시 <완상(玩賞) - 아름다움에 대한 유람>이 문화역서울284 아르티오(RTO)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서는 ‘쓰임’의 도구로서 강조되고 있는 공예의 기능을 심도 있게 조명하고, 기물(器物)과 현대미술의 사이에서 사물(오브제) 그 자체로서의 공예가 지닌 가치를 즐길 수 있다.
오프라인 행사들과 함께 개최되는 온라인 전시관(www.koreacraftweek.com) 전시에서는 전국 주요 지역에서 열리는 전시는 물론 작품 제작 과정, 교육, 강연 등 다양한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올해는 문화예술 관련 기관, 다양한 업체 등과 협업해 더욱 풍성한 볼거리를 선사한다.
▲ 인천공항[공진원갤러리숍 ‘공예정원’ 작가작품 추천(큐레이션) 전시, 공항 출국장 내〈공예주간〉홍보영상 노출], ▲ 테라로사(강릉 커피공장 카페 내 차 문화 작품 전시), ▲ 로얄&컴퍼니(화성 로얄엑스 내 작가 3인 창작공간 공개, 전시회 개최), ▲ 서울공예박물관(전시회 관람, 호텔 숙박 연계 행사), ▲ 재주상회(마을 사람들의 안내로 서귀포 해안가 마을 곳곳에 놓인 공예작품 감상) 등으로 공예 여행을 떠나면 지친 마음을 치유하고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는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
‘2021 공예주간’ 기간 동안 전국 634개 참여 기관은 국민들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며 즐길 수 있도록 방역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해 행사를 운영한다. 문체부도 사전에 모든 참여 기관에 방역 지침을 알리고, 전시장과 행사 안전 점검단을 운영해 주요 행사장의 진행 상황뿐만 아니라 방역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는 등 안전한 행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2018년부터 시작해 올해 4회째를 맞이한 ‘공예주간’은 일상에서 누구나 쉽게 공예를 즐길 수 있도록 전국 공예인들과 함께 전시, 체험, 판매, 지역 연계 행사 등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공예 소비 활성화를 이끌어 내는 공예문화축제이다. ‘공예주간’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과 참여 방법은 공예주간 공식 누리집(www.kcdf.kr/craftweek)과 누리소통망에서 확인할 수 있다.
ㅇ (목적) 공예문화 확산 및 공예 소비 활성화 유도
ㅇ (기간) ’21.10.1.(금)~10.10.(일)(10일간) ※ 2018년 첫 개최
ㅇ (주제) ”공예로 떠나는 여행“
ㅇ (프로그램) 전시, 장터, 체험, 강연 등 종합 공예문화행사
ㅇ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 (주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행사 구성
ㅇ 민관협력 프로그램 (공모선정) : 총 38개처
- 전국 오프라인 프로그램 (25개처)
연번 | 지역 | 선정기관 | 분야 | 프로그램명 |
1 | 서울 종로 | 아트스페이스3 | 전시,토크,체험 | 『산수도(山水陶)』: 생명을 잉태하는 흙 그리고 물이 있는 천지인(天地人)의 공간 |
2 | 서울 종로 | 공백 | 전시 | 풍경수집가의 방 |
3 | 서울 종로 | 원원&헤이즐비 | 전시 | 화관 전시 |
4 | 서울 용산 | WBH Lab | 전시 | 제작소 프로젝트 |
5 | 충남 보령 | 보령공예문화예술연구소 | 전시, 시연 | 보령의 공예, 의미의 탐색 전 |
6 | 서울 종로 | 강신영, 손덕화 | 전시 | 백화현상 白花現象 |
7 | 서울 성수 | 오매 | 전시 | 자수 투데이 (Embroidery Korea) |
8 | 서울 강남 | 별따기 | 전시, 체험 | “그래 괜찮아” |
9 | 서울 종로 및 경남 김해 | 통의동 보안여관 | 전시, 체험 | 다함께 차차차 2021 |
10 | 대전 유성 | 지소(紙所) | 전시, 체험 | 다시, 펼친 종이 |
11 | 서울 서초 | 크래프토이 / Craftoy | 전시, 마켓 | 크래프토이 샵 / Craftoy Shop |
12 | 경북 경주 | 마카모디 | 마켓, 체험 | 마카모디 핸디크래프트 마켓 ‘위대한 손’ |
13 | 서울 종로 | 청년청담 , 월WOL | 전시, 마켓, 체험 | 공예위안: 홈 사피엔스, 집안에 공예를 더하다 |
14 | 서울 종로 | 더리튼핸즈 | 전시 | 도취도람 도취도감 #2 <Mighty Wonders>( |
15 | 강원 강릉 | 고래책방 | 전시 | 강릉 자수, 규방공예의 미래를 보다. 展 |
16 | 서울 종로 | 더 니트 클럽 the knit club | 전시, 체험 | 집을 위한 물건 |
17 | 서울 성북 | 프로젝트 미러 | 전시 | 심경 Mirror Mind |
18 | 서울 종로 | 하균학술문화재단 | 전시 | Holy Moly (체험형 공예전시) |
19 | 서울 성수 | STUDIO LYJ | 전시 | push push |
20 | 전남 담양 | 담양군공예인협회 | 전시, 체험, 마켓 | 공예주간 공예문화 프로그램 “청(淸) |
21 | 충남 아산 | 온양민속박물관 | 마켓 | 일상의 공유 <마켓 온양> |
22 | 서울 성동 | 키오스크 키오스크 | 마켓 | The Art of Living, 일상의 예술 |
23 | 경기 수원 | 주식회사 엔다스 | 전시, 체험 | 시민들과 공예가들이 함께하는 경기상상캠퍼스 문화 공간조성 |
24 | 제주 한림 | 홍 영 주 | 전시 | 녀자로서뎐람회는조선처음: 1921년-2021년 |
25 | 충북 청주 | 스스스스튜디오 | 전시 | 취향담화(趣向談話:취향에 관한 이야기) |
- 온라인 프로그램(5개처)
연번 | 선정기관 | 분야 | 프로그램명 |
1 | 이방인들 | 영상 제작 | 리틀 포레스트: 경주 숲 속에서의 기록 |
2 | 다다손손 | 책자/영상 제작 | 공예 사용 설명서 |
3 | 미식 | 홈페이지 구축 | 집과 공예 : Art and Craft for Home |
4 | 오세린 | 영상 제작 | 크로커다일 X 공예주간 |
5 | Team Ceramix | 전시 영상 제작 | “프로젝트 팔판동 _ 정연재 한옥과 공예품” 영상물 제작 |
- 지역 공예 연계 협․단체(8개처)
연번 | 지역 | 선정기관 | 프로그램명 | 프로그램명 |
1 | 대전 중구 | 갤러리아트사파리 | 전시, 체험 | 2021 Aria Gallery “우리가 꿈꾸는 세상” |
2 | 전주 완산구 | 전주한옥마을 별별체험단 | 체험 | 2021 공예주간 전주한옥마을 별별체험 |
3 | 경기 수원 | 황성행궁 맛촌공방거리 상인회 | 체험 | 화성행궁 맛촌 공방거리 상인회 |
4 | 경기 이천 | 한국공예가협회 | 전시 | ‘韓國現代工藝 位相展’ (한국현대공예 위상전) |
5 | 경북 문경 | 문경도자기협동조합 | 전시, 체험, 교육 등 | "보고, 듣고, 마시고" 공예마당 |
6 | 제주 | 한국전통규방문화연합회 | 전시, 체험 | 생활 속의 귀한 선물 |
7 | 부산 | 모단공예협동조합 | 체험, 교육 | 2021 슬기로운 공예주간 |
8 | 대전 동구 | 대전공예협동조합 | 체험 | 2021대전공예협동조합 체험 |
ㅇ 일반 참여 프로그램〔자발적 참여〕: 총 634개처, 1,013개 프로그램
ㅇ 기업 및 기관 대외 협업
- 대중 브랜드와의 협업 확대로 대중 접근성 향상
기관/기업명 | 협업 내용 |
인천국제공항 | - KCDF 갤러리숍 공예정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작업들을 큐레이팅하여 전시 - 현재 인천공항에서 전시 중인 문화재 공예품들과 공예 정원의 도자, 목공예, 금속, 패브릭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작업들을 조화를 이루게끔 전시 |
테라로사 | - 테라로사(강릉 커피공장) 카페 내 공예품 전시 및 공예주간 홍보 이벤트 |
로얄&컴퍼니 | - 작가 3인(신이철, 이재준, 이인숙) 레지던시 지원(작품 제작) 및 공예주간 기간 내 전시 및 홍보 |
ㅇ 이벤트
기관/기업명 | 협업 내용 |
준오헤어 | - 준오헤어 우수고객 200명 대상 <공예정원> 상품 바우처 지급 이벤트 - 결혼식을 앞둔 신혼부부 중심의 준오헤어 고객 대상 <공예정원> 유입 |
와디즈 | - 공예작가를 위한 와디즈 펀딩 프로그램 사업설명회 추진 및 펀딩 지원 ․ 공예주간 참여처 대상 사업설명회 홍보 및 펀딩 지원프로그램 유입 |
ㅇ <공예주간이 선사하는 특별한 하루(서울)> 이벤트
기관/기업명 | 협업 내용 |
서울공예박물관 | - <공예주간> 특별 이벤트(서울 지역) - 당첨자 1팀(2인) 대상 특별 관람 및 호텔 숙박 - 공예품과 함께 하는 미슐랭 가이드 등재 다이닝 제공 |
ㅇ <공예주간이 선사하는 특별한 하루(제주)> 이벤트
기관/기업명 | 협업 내용 |
제주크래프트위크 064 | - 제주지역의 대표적인 공예 관련 행사 - <공예주간>과 협업하여 제주지역의 거점 행사로서 개최 - 참여처 : 총 30개처 예정 |
콘텐츠그룹 재주상회 | - <공예주간> 특별 이벤트(제주 지역) - <사계산책>(서귀포시 사계마을에 공예품 전시 및 마을산책, 도슨트 포함) |
제주아트디자인 페스타 | - 캠퍼트리 호텔앤리조트에서 개최하는 제주지역 아트페어(공예품 포함) - <공예주간> 특별 이벤트 연계 호텔 숙박 제공 |
ㅇ 상호 협조
기관/행사명(가나다순) | 협업 방안 | |
KIAF SEOUL, 2021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작품전, 미술주간, 신라문화제, 안동한지축제, 울산공예디자인박람회, 제주아트디자인페스타, 2021청주공예비엔날레 | - 공예주간 참여처 및 참여 프로그램 등록 - ‘공예주간x협력 기관·행사명’ 홍보물 SNS 공동 게재 | |
국립민속박물관파주, 나주복암리고분전시관, 마포공예센터, 빛고을공예창작촌, 서울공예박물관,신당창작아케이드, 양림동 펭귄마을 공예거리, 여주도예마을, 옥천 전통문화체험관, 용산공예관, 이천 예스파크, 일상예술창작센터, 전주공예품 전시관, 제주본태박물관, 제주현대미술관,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통영거북선호텔 | 공예주간 참여처 및 참여 프로그램 등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