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바다에 사는 해양생물에게 우리말 이름을 지어주세요

한글날 기념 온라인 조사를 통해 해양생물의 우리말 이름 짓기 추진

사진=코스미안뉴스


한글날(10. 9.)을 맞아 우리바다에서 살고 있으나 아직 우리말 이름이 없는 해양생물에 대해 온라인 이름 선호도 조사 (10. 8. ? 18.) 를 실시하여 우리말 이름을 지어줄 계획이다.

 

통상 생물에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명명규약에 따라 라틴어로 학명을 부여하는데, 학명만으로는 일반국민들이 어떤 생물인지 이해 하기가 다소 어렵다. 반면, 국명은 학명과는 다르게 자국의 언어로 이름을 짓기 때문에 어떤 생물인지 알기 쉬우며, 생물의 국명 유무가 생물 보유국임을 증명하는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국명을 짓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생물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를 높이고 자원 주권을 확립하기 위해 2018 년부터 매년 선호도 조사를 통해 해양생물에 우리말 이름을 지어주고 있으며, 지금까지 총 32 종의 해양생물이 우리말 이름을 갖게 된 바 있다.

 

올해에도 한글날을 맞이하여 우리말 이름이 없는 해양생물 10종을 선정하고, 최초 발견지역과 생김새, 특징 등을 반영한 우리말 이름 후보 2개를 정하였으며, 선호도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우리말 이름을 지어줄 계획이다.

 

예를 들어, 전북 고창 구시포에서 채집된 환형동물은 지명을 담은 이름인 구시포 고리버들갯지렁이와 첫 번째 가시마디에 배다리가 없는 특징을 반영한 이름인 민다리고리버들갯지렁이를 후보로 정하였다.

 

또한, 부산에서 처음 발견된 연체동물은 붉은색 체색 위에 흰색 반점이 있다는 특징을 반영하여 붉은 흰반점문어흰반점문어를 후보로 선정하였다.

 

선호도 조사는 108일부터 18일까지 해양수산부 누리집(www.mof.go.kr)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누리집 (www.mabik.re.kr)에서 이뤄지며, 해양생물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참여자는 후보 이름 중 더 나은 하나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이름을 제안할 수도 있다.

 

해양수산부는 최초 생물 발견자와 함께 조사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리말 이름을 확정하고, ‘2022년 국가 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에 반영할 계획이다. 또한, 선호도 조사 참여자 중 1,000명을 선정하여 소정의 상품도 제공할 예정이다.

 

임영훈 해양수산부 해양수산생명자원과장은 우리나라 해양생물에 친숙한 우리말 이름을 붙여주어 국민들이 자연스럽게 우리바다 생물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되길 바라며, 국가해양생물 주권 확립과 관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명 기자
작성 2021.10.07 11:03 수정 2021.10.07 11:2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