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미디어 창작자 15억 중국 플랫폼 진출 지원한다

서울시-SBA, 웨이보 등 중국 플랫폼 진출 원하는 1인 미디어 대상 맞춤 무료 교육



서울시와 서울산업 진흥원(SBA)은 웨이보, 시과비디오 등 중국 8대 플랫폼 협력기업인 아도바(중국 전문 MCN 기업)와 손잡고 1인 미디어 창작자의 중국 플랫폼 진출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중국은 15억 명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장이다.


서울시는 1인 미디어 창작 지원을 위해 중국 현지 전문가가 구성한 커리큘럼에 따라 총 4주간의 집중 교육을 진행한다. 교육은 포화된 국내 1인 미디어 시장에서 벗어나 중국의 주요 플랫폼 진출을 목표로하는 1인 미디어를 대상으로 진행하며, 111()부터 1111()까지 구글폼스(https://forms.gle/Ny1nbgfqdgJTteRR7)를 통해 접수받는다. 교육비용은 전액 무료다.


‘1인 미디어 창작자 중국 플랫폼 진출 교육은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1인 미디어 창작자 및 일반시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교육은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의 영상플랫폼인 하오칸 비디오의 부총경리를 역임한 안승혜 대표의 중국 영상 플랫폼 뜯어보기를 시작으로 중국에서 크리에이터로 살아남는 법’, ‘중국 진출 크리에이터 성공사례등으로 구성되어 중국 플랫폼에서 활동을 원하는 1인 미디어 창작자를 위한 노하우를 교육한다.


교육은 1111()부터 122()까지 4주간 매주 목요일에 진행한다. ‘중국 플랫폼 진출 로드맵등 중국 진출 과정과 사업계획서를 구체화하는 등 우수 교육생 20()을 선발해 각 100만원의 콘텐츠 제작비를 지원한다.


서울시는 교육 이후에도 중국 전문 크리에이터 콘텐츠 플랫폼인 아도바와 협력해 1인 미디어의 중국 진출을 위한 밀착 관리를 이어간다. '아도바'는 중국 전문 MCN 기업으로 중국 상위 8대 영상 플랫폼과 공식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


아도바는 도우인, 시과, 비리비리, 하오칸 등 메이저 급 중국 동영상 플랫폼에 가장 많은 인터내셔널 채널을 보유하고 1인 미디어 창작자들을 대신해 채널 개설 및 운영, 수익금 한화 정산 등의 지원을 하는 등 언어와 규제 등의 문제로 진출이 어렵던 중국 영상 플랫폼 시장의 빗장을 여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 8대 플랫폼은 도우인, 시과비디오, 비리비리, 하오칸비디오, 웨이보, 샤오홍슈, 왕이윈 뮤직, 따위하오이다.


김홍진 서울시 미디어콘텐츠산업과장은 숏폼(짧은 동영상 콘텐츠)가 인기를 끄는 등 1인 미디어 트렌드는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 교육이 새로운 기회를 찾는 1인 미디어 창작자들이 플랫폼의 다변화를 통해 활동 범위를 넓히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서울시와 SBA는 재능있는 창작자들을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펼치겠다라고 말했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11.01 09:17 수정 2021.11.01 10:0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