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2일 오후 청량리역 6번 출구, 남성 A씨가 손에 물건을 한가득 들고 내려오던 중 미처 중심을 잡지 못하고 에스컬레이터에서 넘어졌다. A씨가 넘어질 줄은 상상조차 못한 뒤따르던 승객 3명도 A씨의 몸에 걸려 연달아 넘어졌다. 함께 넘어진 70대 여성 B씨의 머리카락이 에스컬레이터 틈 사이로 끼어들어가 머리에서 피를 흘리는 등 큰 부상을 입었다. 역 직원이 곧바로 출동해 에스컬레이터 전원을 끄고 지혈 후 119를 호출했다. 다행히 부상자 모두 생명에 지장은 없었지만, 청량리역 6번 출구는 고통을 호소하는 이들의 목소리와 함께 한동안 혼란스러웠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가 최근 5년(2017. 1.~2021. 9.) 간 서울 지하철 내 에스컬레이터 넘어짐 사고를 집계한 결과, 총 257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치료비 지급 건수 기준). 매달 평균으로 환산하면 약 4~5건 가량으로 결코 적지 않은 수치다. 특히 신체 반응이 빠르지 않은 60대 이상 어르신들의 사고가 150건(58.4%)으로, 전체 사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넘어짐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역은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13건)이었다. 일일 수송인원이 53,963명(2021년 9월까지 기준)으로 혼잡한 역이며, 에스컬레이터 대수 또한 12대로 많은 데다 인근 상업지역(쇼핑몰・아울렛 등)에서 물건을 사고 지하철을 타는 인원이 많은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여기에 1호선과의 환승 시 어르신들이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다 발생한 사고도 많았다.
3호선 고속터미널역(7건), 4호선 충무로역・7호선 이수역・노원역(각 6건)이 그 뒤를 이었다. 환승인원이 많은 곳으로, 내부 에스컬레이터 이용 시 사고가 많았다.
○ 역별 에스컬레이터 넘어짐 사고 발생 집계건수(2017~2021)
※ 사고 후 치료비 지급 건수 기준
역명(호선) | 사고건수 | 비고 |
가산디지털단지(7) | 13건 | 환승역(↔1호선) |
고속터미널(3) | 7건 | 환승역(↔7, 9호선) |
충무로(4) | 6건 | 환승역(↔3호선) |
이수(7) | 환승역(↔4호선) | |
노원(7) | 환승역(↔4호선) | |
약수(6) | 5건 | 환승역(↔3호선) |
신길(5) | 환승역(↔1호선) | |
동묘앞(6) | 4건 | 환승역(↔1호선) |
회현(4) | - | |
종로3가(1) | 환승역(↔3, 5호선) | |
신도림(2) | 환승역(↔1호선) | |
청량리(1) 등 22역 | 3건 | - |
홍대입구(2) 등 30역 | 2건 | |
서초(2) 등 67역 | 1건 |
넘어짐 사고의 유형은 다양했다. 보행보조기나 물건을 가득 실은 손수레 등 큰 짐을 든 승객이 에스컬레이터에서 균형을 잡지 못하거나, 도착 시 끝부분에 있는 턱 부분에 짐이 걸려 넘어지면서 발생하는 사고가 대표적인 사례다. 이 외에 술에 취한 채 에스컬레이터를 탑승하다 손잡이를 놓치는 등 부주의로 인한 사고도 있었다.
자체 집계된 경미 사고까지 합하여 개별 유형을 살펴보면, 1호선 제기동역은 손수레로 인한 에스컬레이터 사고가 잦았다. 승차인원 중 어르신 비율이 51.5%로 가장 높은 데다, 인근에 경동시장・약령시장 등이 위치하여 물건을 사러 온 어르신들이 손수레를 끌고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다 부주의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 까치산역・암사역도 손수레 사고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