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한강 거닐며 생태탐방‘그린한강 프로젝트’

각자 참여해 함께 완성하는 ‘생태지도 만들기’ 등 다양한 생태프로그램 운영


선선한 바람을 느끼고 흩날리는 낙엽을 바라보며 산책하기 좋은 가을이다. 이번 주말에는 지친 일상에서 벗어나 깊어가는 가을을 만끽하셀프 생태탐방을 할 수 있는 서울의 숨겨진 자연 명소, 한강 생태공원으로 향하는 것이 어떨까?


서울시 한강사업본부는 11월 한 달간 도심 속 풍부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한강 생태공원에서 아름다운 가을 정취를 누리고 한강의 생태적 가치를 직접 관찰하는그린한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그린한강 프로젝트는 한강 곳곳에 자리한 숨은 보물인 생태공원 6개소에서 참여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참여하여 함께 완성하는 생태지도 만들기를 포함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생태지도 만들기는 공원 방문자가 스스로 생태공원을 탐방한 후, 공원 곳곳에서 발견한 동식물, 곤충 등 생명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게시판에 표현하는 셀프 참여형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능동적인 공원 이용을 통해 생태공원을 찾는 시민이 한강공원 이용자를 넘어 공원과 자연을 잇는 매개자이자, 생태계의 가치를 직접 만들어가는 가치 생산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각 생태공원의 위치에 따라 볼거리, 즐길 거리뿐 아니라 생태적 특징이 다르니, 공원별 소개를 확인한 후 원하는 공원에서 참여하면 된다.

강서습지생태공원 : 조류특화공원으로 철새 뿐 아니라 일 년 내내 서식하는 새들이 방문자를 맞이한다. 특히, 갈대숲에서는 참새와 붉은머리오목눈이를 자주 만날 수 있다. 데크길을 따라 걸으면 조류전망대와 버드나무 숲길도 있으니 가을의 정취를 물씬 느끼며 산책 후 참여해 보자.

여의샛강생태공원 : 1997년 조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생태공원으도심 한복판에서 원앙, 맹꽁이, 왜가리 등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이. 여의샛강생태체험관 뒤편에 생태지도가 마련되어 있으며, 여의샛강의 자연재료인 나무와 흙으로 만들어져 독특하고 특별한 체험을 할 수 있다.

난지습지생태공원 난지수변학습센터 : 이곳의 생태지도 만들기는 4가지 테마 열매도감’, ‘조류도감’, ‘어류도감’, ‘곤충도감으로 조성되어있으며, 나무절편목공풀색연필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게시판을 꾸밀 수 있다. 또한 게시판에 부착된 QR코드 스캔하난지생태습지원에 서식하는 다양한 어류, 조류, 곤충, 열매를 확인할 수 있다.

난지습지생태공원 한강야생탐사센터 : 야생탐사센터 외벽에 자리한 생태지도의 이름은 <말똥게를 아시나요?>. 공원에 마련된 셀프 가이드북을 활용하여 공원 탐방을 할 수 있으며, 운좋게 말똥게를 만난다면 나무절편에 마음껏 표현해보자. 목공 체험으로 감수성과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암사생태공원 : 탐방로 표지판을 따라 진입하면 양쪽으로 조팝나무, 찔레나무, 참느릅나무가 흐드러진 숲길을 마주하게 된다. 데크길을 따라 걸으며 바라보는 한강의 풍경이 아름다워 산책코스로 추천한다. 산책 후 만난 생물들을 지도에 옮겨보자.

 

고덕수변생태공원 : 서울의 유일한 생태복원지역으로 모래톱, 드나무숲, 두충나무숲 등 도시생태계 자연성이 잘 보존된 곳이다. 공원에는 300여 종의 식물과 조류, 곤충, 양서·파충류, 포유류 등 다양한 생물이 조화롭게 서식하고 있으니, 공원에서 만난 동·식물을 다양하게 표현해 보자.


참여를 원하거나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yeyak.seoul.go.kr)에서 그린한강을 검색하면 된다. 공공서비스 예약에서 접수 중이며 한강 생태공원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고, 무료로 참여가 가능하다.


황인식 서울시 한강사업본부장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지친 몸과 마음을 도심 속 자연명소인 한강 생태공원에서 치유하고 재충전하실 수 있길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한강의 자연과 생태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어가겠다.”라고 전했다.


참여인원, 신청방법 등 세부 정보는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 참고

프로그램

운영일

내 용

강서습지

생태공원

(02-3780-0849)

강서습지

생태지도 만들기

7,14,21,28

()

강서습지에 터를 잡고 사는 텃새, 나그네새, 철새를 찾아보고 관찰한 새를 나무 절편에 표현하여 생태지도 꾸미기

셀프 탐조생활

- 겨울철새

7,11,14,

21,25,28

(, )

(셀프가이드, 새도감, 쌍안경 대여)

강서습지생태공원 셀프탐조 후, 새모형을 만들고 셀프탐조생활 인증사진 남기기

여의샛강

생태공원

(070-4647-0824)

내가 만드는 샛강지도

- 얘들아! 이 강에서 같이 살자

3, 10,17

()

샛강의 생명들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지 알고, 카트를 활용하여 동물, 식물, 곤충 만들기

내가 만드는 샛강지도

만들고 지우고 다시 만들고

1~30

수시

샛강을 산책하며 샛강 속속들이 무엇이 사는지 관찰하고,

발견한 생물을 생태지도에 표현한 후 SNS에 올리기

내가 만드는 샛강지도

샛강의 소리

1~30

(수시)

샛강을 산책하며 샛강의 소리 느끼기. 게시판 옆에 준비 되어 있는 나무막대, 돌 등을 이용하여 샛강의 소리 표현하기

난지수변

학습센터

(02-305-1333)

 

난지생태도감

수시

<발견되는 난지생물을 자연물로 그리기>

나뭇잎 열매 나뭇가지와 끈을 이용해 새, 곤충, 물고기, 열매를 게시판에 그리기 (QR코드 정보로 난지생물 알기)

가을편지쓰기

~

<난지생물에게 가을편지를 써요>

난지 생물(, 곤충, 나무, 열매)에게 편지를 쓰고 버드나무에 걸어주고 난지 생태도감 참여하기

나무판에 담는 난지가을

~

<습지원의 가을풍경>

난지 가을 풍경을 나무판에 그려 센터 전시하기

가을 쥐똥나무 심기

매주 토

<나무심기> 쥐똥 울타리 나무심기

한강야생

탐사센터

(02-305-1334)

생태지도 만들기

말똥게를 아시나요?

수시

<말똥게를 아시나요?>

셀프탐방지도에 말똥게 흔적 표시하기, 나만의 말똥게 표현하기, 생물지도판에 전시하기

씨앗의 모험

, ,

씨앗과 열매를 통한 식물의 번식방법 관찰하기

곤충공작소

10, 17, 24 ()

<곤충공작소>

다양한 곤충을 자연재료(나무절편)으로 만들어 게시판 꾸미기

암사생태

공원

(070-7788-9670)

 

새들아~

집 지어줄게

28

철새와 텃새 구분방법 알기, 공원에서 볼 수 있는 새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가족과 새집 꾸미기, 꾸민 새집 달아주기

에코팟

나만의 반려식물

7, 14

공원의 열매와 씨앗찾아 탐방하기, 미션을 완성하며 다육이키트 받아가기, 완성된 다육이화분 사진 카페에 올리기

숲친구 내친구

수시

공원 탐방하며 자연 관찰하기, 관찰한 동식물 목편에 표현하기

곤충 음악회

수시

가을에 소리내는 곤충 찾아보기, 곤충의 울음 소리 들어보기, 곤충카드에 자연물로 표현하기

고덕수변

생태공원

(02-426-0755)

고덕 셀프가이드

가족 미션트래킹

평일

공원의 야생조류 열매 꽃 등 관찰하기, 생태퍼즐 맞추기, 엽서 꾸미기

가을특집 숲 속 올림픽

13()

<온라인/오프라인 결합 가족프로그램

숲속양궁 가족 줄넘기 팽이돌리기 등 자연물을 이용한 공원의 다양한 미션을 가족별로 수행하고 이를 통해 자연을 이해하기

뚜벅뚜벅 고덕으로 떠나볼까?

7, 21()

<가을철의 추억 만들기

고덕으로 떠나는 가족 추억 여행, 시원한 두충 숲의 생태순환 느껴보기, 생태와 체험 그리고 가족 미션

서문강 기자
작성 2021.11.06 09:48 수정 2021.11.06 10:0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갈매기와 청소부
즐기는 바다
광안리 야경
2025년 8월 15일
의열투쟁단체 ‘다물단’ 이규준 | 경기도의 독립영웅
불빛으로 물든 바다
흐린 날의 바다
바다, 부산
2025년 8월 14일
동학농민 정신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
전봉준 동학농민혁명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
#국가보훈부 #이승만 #독립운동가
#친일반민특위 #국민이주인 #민주주의 #가짜보수 #청산
#애국의열단 #애국 #의열단 #독립운동가 #반민특위 #친일반민특위 #나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엄숙해야할공간 #명찰의목소리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특위
#제일동포
#조선인 #노무사 #숙소
#일제강점기 #광산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