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주는 28일 부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이봉주 쾌유 기원 마라톤에 마지막 주자로 출발했다. 사전 신청한 195명의 페이스메이커가 10개 조로 나눠 4㎞씩 총 40㎞를 달렸고 이봉주가 마지막 2.195㎞를 뛰어 결승선을 통과했다. 이봉주는 느린 걸음이었지만 페이스메이커들의 마음을 적시었다.
이봉주는 “1㎞ 이상을 달리는 건, (희소병이 발병한 뒤) 2년 만이다. 예전처럼 달릴 수는 없지만, 내게는 의미 있는 달리기”라며 “그동안 코로나19 여파로 사람들이 모일 수도 없었다. 이렇게 많은 분이 나를 위해 모여주셔서 더 감동했다”고 말했다. 이봉주는 “오늘은 예전처럼 뛸 수 없지만, 다음에는 꼭 더 건강한 모습으로 뛰겠다”며 “이런저런 이유로 몸이 불편한 많은 분께 희망을 드리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봉주는 2020년 1월부터 근육 긴장 이상증을 앓았다. 지난해 6월 수술을 받은 후 어느 정도 회복했지만 여전히 허리를 숙인 채 걷는다. 건강했던 이봉주의 모습을 기억하는 팬들에겐 안타까운 일. 육상계는 물론 사회 곳곳에서 이봉주의 쾌유를 기원했다.
이봉주는 1996 애틀랜타올림픽 남자 마라톤에서 은메달을 차지했고, 2000년 일본 도쿄마라톤에선 2시간 7분 20초의 한국 기록을 작성했다. 이봉주는 현역 생활 중에 총 41차례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했다. 이봉주는 은퇴 후 방송에 출연하며 한국 육상을 대중에게 알렸다.
페이스메이커로 참가한 오영복 씨는 “나도 운동 장애를 겪고 있다. 이봉주 선수의 모습을 보며 ‘나도 희망을 잃지 않겠다’고 다짐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엔 1986 서울아시안게임 육상 3관왕 임춘애, 1984 LA 올림픽 마라톤에 출전한 김원식도 참여해 이봉주를 응원했다.